임정묵 연구실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정묵
임정묵 연구실은 농생명공학부 소속으로, 발생공학과 줄기세포, 생식생명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생식세포의 발생, 분화, 그리고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획득 및 유지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체외 난포 및 배아 배양, 체세포 핵이식, 인공수정, 줄기세포의 자가 및 동종 이식 등 다양한 발생공학적 기법을 개발하고 최적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연구에서는 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생식세포 유래 줄기세포의 확립 및 특성 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3차원 배양 시스템, 합성 하이드로젤, 성장인자 및 세포외기질 조성의 조절 등 첨단 바이오엔지니어링 기술을 접목하여 줄기세포의 자가재생 및 분화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및 인간의 난소, 정소 등 생식기관에서 유래한 세포를 이용한 맞춤형 줄기세포 확립법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생식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생식세포의 체외 배양, 수정, 배아 발달, 그리고 생식세포 조작 기술 개발에 있어 오랜 연구 경험과 독보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난포 및 난자의 체외 성숙, 체외 수정, 배아의 동결보존, 다양한 동물종에서의 생식세포 이식 및 키메라 동물 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생식생명공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습니다. 특히, 조류 및 포유류의 원시생식세포(PGC) 및 정원줄기세포(SSC)의 분리, 배양, 이식 및 유전자 조작을 통한 형질전환 동물 및 키메라 동물 생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난임 치료, 조직 재생, 질환 모델 동물 개발, 희귀 동물 보존, 유전자 편집을 통한 질병 저항성 동물 생산 등 다양한 의생명과학 및 농생명공학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 생식세포 기반의 유전자 치료, 맞춤형 배아 및 줄기세포 생산 등 미래 생명공학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임정묵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국내외 논문, 학술상 수상, 산학협력 및 정부과제 수행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농생명공학 및 의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생명공학 기술 개발과 실용화, 그리고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발생공학 및 줄기세포 연구
임정묵 연구실은 발생공학과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 모델(소, 돼지, 닭, 쥐 등)을 활용하여 생식세포의 발생, 분화, 그리고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획득 및 유지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체외에서의 난포 및 배아 배양, 체세포 핵이식, 인공수정, 그리고 줄기세포의 자가/동종 이식 등 다양한 발생공학적 기법을 개발하고 최적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분야에서는 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그리고 생식세포 유래 줄기세포의 확립 및 특성 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3차원 배양 시스템, 합성 하이드로젤, 다양한 성장인자 및 세포외기질 조성의 조절 등 첨단 바이오엔지니어링 기술을 접목하여 줄기세포의 자가재생 및 분화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및 인간의 난소, 정소 등 생식기관에서 유래한 세포를 이용한 맞춤형 줄기세포 확립법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난임 치료, 조직 재생, 질환 모델 동물 개발 등 다양한 의생명과학 및 농생명공학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 희귀 동물 보존, 유전자 편집을 통한 질병 저항성 동물 생산 등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큽니다.
생식생명공학 및 생식세포 조작 기술
본 연구실은 생식세포의 체외 배양, 수정, 배아 발달, 그리고 생식세포 조작 기술 개발에 있어 오랜 연구 경험과 독보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난포 및 난자의 체외 성숙, 체외 수정, 배아의 동결보존, 그리고 다양한 동물종에서의 생식세포 이식 및 키메라 동물 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생식생명공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습니다.
특히, 조류 및 포유류의 원시생식세포(PGC) 및 정원줄기세포(SSC)의 분리, 배양, 이식 및 유전자 조작을 통한 형질전환 동물 및 키메라 동물 생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희귀종 보존, 유전자 편집 동물 생산, 그리고 생식질 보존 및 복원 기술의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생식세포 특이적 마커 개발, 세포 분화 및 이동 기전 규명, 생식세포의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조절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식생명공학 연구는 농축산업의 생산성 향상, 멸종위기 동물 보존, 질병 저항성 가축 생산, 그리고 인간의 난임 치료 및 생식의학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생식세포 기반의 유전자 치료, 맞춤형 배아 및 줄기세포 생산 등 미래 생명공학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1
Development of Polyethylene Glycol-based Hydrogels Optimized for<i> In</i><i> Vitro</i> 3D Culture of HepG2 Hepatocarcinoma Cells
임정묵, Lee Young Jae, Kim Keun Cheon, Lee Jeong Min, Lee Seung Tae
ANTICANCER RESEARCH, 202310
2
Establishment of a piglet model for peritoneal metastasis of ovarian cancer
임정묵, 박수민, 안지연, 김희승, 이은지, 박수진, Aeran Seol, 임현진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02207
3
Asp149 and Asp152 in chicken and human ANP32A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interaction with influenza viral polymerase
박영현, 우승제, 한재용, 켈리춘구, 이수빈, 심지현, 이홍조, 김익태, Deivendran Rengaraj, 송창선, 서정용, 임정묵
FASEB JOURNAL, 202106
1
모델동물 사용 회피를 위한 3차원 배양 기반 생체모방형 Lab-on-a-chip 개발과 난소암 항암제 후보물질의 screening을 위한 타당성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