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Chung Lab

성균관대학교 약학과

정가영 교수

Proteomic Analysis

GPCR Signaling Pathways

Structural Biology

Chung Lab

약학과 정가영

정가영 교수 연구실은 세포 신호전달의 중심에 있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와 관련된 구조생물학 및 분자약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GPCR은 다양한 외부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전체 약물 표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의약학적으로 중요한 단백질군입니다. 본 연구실은 GPCR의 신호전달 메커니즘, 구조적 변화, 그리고 신호 선택성의 분자적 원리를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GPCR과 G 단백질, arrestin 등 신호전달 단백질 간의 복합체 형성과 해리,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입체적 변화와 다이나믹스를 다양한 첨단 구조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X선 결정학, 전자현미경, 그리고 수소/중수소 교환 질량분석법(HDX-MS) 등 다양한 방법을 융합하여, 신호전달 복합체의 구조와 동적 특성을 분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관찰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단백질 변이체, 약물 결합체, 그리고 다양한 생리적·병리적 조건에서의 단백질 구조 및 기능 변화를 심도 있게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GPCR 신호전달의 기본 원리뿐만 아니라, 질병과 연관된 변이체의 병리적 특성, 그리고 신약 후보물질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맞춤형 의약품 개발 및 신약 타깃 발굴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정가영 교수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과의 협력, 그리고 활발한 국제 학술 활동을 통해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그리고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구조생물학 및 분자약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실은 GPCR 및 신호전달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 전략과 혁신적 신약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차세대 연구 인재 양성에도 힘쓰며, 생명과학과 약학의 융합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Proteomic Analysis
GPCR Signaling Pathways
Structural Biology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신호전달의 구조 및 다이나믹스 연구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막 단백질로, 외부의 다양한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GPCR은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감각 자극 등 다양한 리간드에 반응하여 세포 내 G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합니다. 이러한 GPCR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은 세포의 항상성 유지와 질병 발생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GPCR은 신약 개발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정가영 교수 연구실에서는 GPCR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구조적 변화와 다이나믹스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GPCR이 G 단백질 및 arrestin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는 입체적 변화와 신호 선택성의 분자적 원리를 규명하고자 다양한 구조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X선 결정학, 전자현미경, 수소/중수소 교환 질량분석법(HDX-MS) 등 첨단 분석기술을 통해 GPCR 복합체의 구조와 동적 변화를 정밀하게 관찰하고, 이로부터 신호전달의 세부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GPCR 신호전달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GPCR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 개발에도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GPCR의 구조적 특성과 신호전달 경로의 선택성을 조절함으로써, 부작용이 적고 효능이 뛰어난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질환과 연관된 GPCR 변이체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맞춤형 의약품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수소/중수소 교환 질량분석법(HDX-MS)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및 상호작용 연구
수소/중수소 교환 질량분석법(HDX-MS)은 단백질의 입체구조와 다이나믹스, 그리고 단백질-단백질 또는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기법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백본에서 수소가 중수소로 교환되는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단백질의 구조적 유연성, 결합 부위, 그리고 구조 변화의 정도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가영 교수 연구실은 HDX-MS를 활용하여 GPCR, G 단백질, arrestin 등 다양한 신호전달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와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rrestin의 활성화 과정이나 GPCR-G 단백질 복합체의 결합 및 해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구조 변화를 HDX-MS로 분석하여, 신호전달의 동적 특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백질 변이체나 약물 결합에 따른 구조적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신약 후보물질의 작용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조생물학 및 약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HDX-MS 기반의 정밀 분석을 통해 단백질의 기능적 구조와 변이체의 병리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질병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신호전달 단백질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해석함으로써, 복잡한 생명현상의 이해와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Kim K, Ji JS, Kim HR, Choi Y, Lee HH, Inoue A*, Chung KY*. Molecular mechanism of β-arrestin 2 interaction with phosphorylated intracellular loop 3 of dopamine receptor D2.
Kim K, Ji JS, Kim HR, Choi Y, Lee HH, Inoue A*, Chung KY*
Communications Biology, 2025
2
Ji JS, Yun Y, Stepniewski TM, Yoon H-J, Min K, Park JY, Chung C, Eceolaza MD, Chung KY, Selent J*, Lee HH*. An arginine switch drives the stepwise activation of β-arrestin by CXCR7.
Ji JS, Yun Y, Stepniewski TM, Yoon H-J, Min K, Park JY, Chung C, Eceolaza MD, Chung KY, Selent J*, Lee HH*
Plos Biology, 2025
3
Kim K, Chung KY*. Protocol for measuring β-arrestin1-phosphorylated peptide interaction and analyzing conformational dynamics of β-arrestin1.
Kim K, Chung KY*
Star Protocols, 2025
1
[BK21]국가혁신성장 선도 미래 약학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통합EZ]GPCR에 의한 G protein 활성의 다이나믹한 원리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통합EZBARO_A002]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통합RCMS]극지 지의류 유래 치매치료제 실용화 연구
해양수산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통합RCMS]
2023년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