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Park Lab at UOS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박동욱 교수

Quantum Dots

Flexible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Neural Electrodes

Park Lab at UOS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박동욱

박동욱 교수 연구실(BNEL, 바이오나노 융합전자 연구실)은 신소재와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바이오메디컬 기기 및 바이오센서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투명 신경전극, 플렉서블 트랜지스터, DNA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래핀과 2차원 소재, 파릴렌-C 등 생체적합성 및 투명성을 갖춘 소재를 활용하여, 뇌 신경 신호를 정밀하게 기록하고 실시간 이미징이 가능한 투명 신경전극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극은 기존 금속 전극의 한계를 극복하며, 신경과학 연구와 신경질환 치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연구실은 플렉서블 전자소자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파릴렌-C 기판 위에 제작되는 플렉서블 트랜지스터, RRAM, CTF 메모리 등은 웨어러블 및 이식형 바이오메디컬 기기에 적합하며, 신뢰성 향상과 장기 내구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공정 및 소재 연구가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미래의 스마트 헬스케어, 신경모방 시스템, 인체 삽입형 센서 등 차세대 의료기기의 핵심 기반이 됩니다. DNA 압타머와 마이크로플루이딕 시스템을 결합한 바이오센서 개발도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압타머의 높은 특이성과 마이크로플루이딕 칩의 정밀 제어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차세대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조기 질병 진단, 맞춤형 의료,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연구실은 신경전극의 장기 신뢰성, 플렉서블 소자의 전기적 특성 분석, 바이오센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박동욱 교수 연구실은 깊이 있는 연구와 실용적 응용을 통해, 건강한 사회와 미래 바이오전자공학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Quantum Dots
Flexible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Neural Electrodes
투명 신경전극 및 바이오전자공학
투명 신경전극은 뇌의 복잡한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전기생리학, 신경영상, 그리고 광유전학 등 다양한 신경과학 연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그래핀, 2차원 소재, 유무기 하이브리드 등 첨단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투명하고 유연하며 이식 가능한 신경전극 어레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극은 기존의 불투명 금속 전극과 달리, 신경 신호의 정밀한 기록과 동시에 광학적 이미징 및 광유전학적 자극이 가능하여, 신경회로의 동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투명 신경전극의 소재 개발뿐만 아니라, 신경전극의 장기 신뢰성, 생체적합성, 그리고 실제 동물 모델에서의 적용성까지 폭넓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릴렌-C와 같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기판을 이용하여 전극의 내구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폴리이미드 케이블 등 다양한 구조적 보완을 통해 장기 이식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신호 획득이 가능하도록 설계합니다. 또한,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개선을 위해 금속-그래핀 하이브리드 구조 등 혁신적인 접근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신경질환 진단 및 치료, 차세대 신경보철기기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투명 신경전극 기술은 신경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향후 인간의 뇌 기능 해석과 신경계 질환 치료에 혁신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플렉서블 트랜지스터, 메모리 및 논리소자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차세대 전자기기와 의료기기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생체적합성 파릴렌-C 기판 위에 제작되는 플렉서블 트랜지스터, 메모리, 논리회로 등 다양한 전자소자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자들은 유연성과 투명성, 생체적합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웨어러블 및 이식형 바이오메디컬 기기에 적합합니다. 특히, 그래핀, 2차원 소재,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유기 반도체 등 첨단 소재를 활용하여 플렉서블 트랜지스터와 RRAM(저항변화 메모리), CTF(Charge Trap Flash) 메모리, 플렉서블 증폭기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들 소자는 곡면이나 신체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신호 증폭, 데이터 저장, 논리 연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렉서블 소자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SU-8 패시베이션, 구조적 최적화, 전기적 특성 분석 등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인체 삽입형 센서, 신경모방 시스템(뉴로모픽) 등 미래 지향적 응용 분야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플렉서블 전자소자 기술은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허물며, 차세대 스마트 의료기기와 바이오센서의 핵심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DNA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 및 마이크로플루이딕 시스템
DNA 압타머는 특정 표적 분자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단일 가닥 핵산으로,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혁신적인 감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압타머와 마이크로플루이딕 시스템을 결합한 전자 바이오센서를 개발하여, 미세유체 채널을 통해 흐르는 바이오마커를 고감도, 고특이적으로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는 라벨 프리(label-free) 방식으로 작동하여, 복잡한 전처리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연구실은 DNA 압타머의 설계 및 합성, 전자소자와의 융합, 그리고 마이크로플루이딕 칩의 미세가공 기술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압타머-전극 결합 구조의 최적화, 전기화학적 신호 증폭, 다양한 질병 바이오마커(예: 글루코스, pH, 단백질 등) 검출에 대한 응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다중 분석이 가능한 플랫폼 개발을 통해 차세대 진단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조기 질병 진단, 맞춤형 의료,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DNA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와 마이크로플루이딕 시스템의 융합은 미래 바이오진단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1
Electrical neural stimulation with transparent graphene electrode has been successfully demonstrated
ACS Nano, 2018
2
We reveal fabrication process for revolutionary transparent sensors
Nature Protocols, 2016.11
3
See-through sensors open new window into the brain
Nature Communications, 2014.10
1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with Seoul Science High School
Seoul Science High School
2021년 04월 ~ 1970년
2
System semiconductor programs funded b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Ministry of Science and IC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1년 04월 ~ 1970년
3
BrainKorea 21 (BK21) Four program funded by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20년 09월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