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한종인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한종인 교수

Perioperative Care

Autophagy

Neurocognitive Disorders

한종인 연구실

의과대학 한종인

한종인 연구실은 의학과 마취통증의학 분야에서 심혈관마취, 신경보호 마취, 그리고 최신 기술을 활용한 마취 및 통증 관리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심혈관계 질환 환자, 특히 고위험군 환자의 마취 관리와 관련된 임상적 연구를 통해 환자의 안전성과 수술 결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심혈관마취는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 심장 기능 보호, 그리고 수술 중 합병증 예방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며, 본 연구실은 이러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성과를 축적해왔습니다. 또한, 수술 후 인지기능장애(POCD) 및 신경보호 마취 전략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고령 환자나 신경계 질환 환자에서 마취 약물의 선택과 투여 방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있으며, 덱스메데토미딘, 프로포폴 등 다양한 마취제의 신경보호 효과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초음파 등 최신 의료기술을 활용한 마취 및 통증 관리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음파 유도 신경차단술, 폐 초음파를 이용한 무기폐 평가, 그리고 다양한 체위 변화에 따른 혈관 및 신경 구조의 변화 분석 등은 임상 마취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마취 및 통증 관리 전략을 개발하고, 마취 관련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본 연구실은 마취통증의학의 발전과 환자 안전성 증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회 발표, 다수의 논문 출판, 그리고 최신 연구 결과의 임상 적용을 통해,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환자 치료의 질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후학 양성과 전문 인력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미래 마취통증의학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종인 연구실은 심혈관마취, 신경보호 마취, 최신 의료기술을 활용한 마취 및 통증 관리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마취 전략 개발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Perioperative Care
Autophagy
Neurocognitive Disorders
심혈관마취 및 고위험 환자 마취 관리
심혈관마취는 심장 및 주요 혈관 수술에서 환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핵심적인 마취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 특히 고위험군 환자에서의 마취 관리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심혈관마취는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 심장 기능 보호,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 예방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최근에는 심혈관마취 분야에서 최신 약물 및 마취 기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과 같은 진정제 및 진통제의 사용이 노인 환자에서 수술 후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임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마취제의 혈역학적 영향, 심장 수술 환자에서의 신경보호 효과, 그리고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합병증(예: 저혈압, 부정맥 등)에 대한 신속한 대처법 개발도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심혈관마취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 맞춤형 마취 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중증 심혈관질환 환자에서의 마취 관리 프로토콜을 체계화하여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높이고, 수술 후 회복 및 예후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수술 후 인지기능장애 및 신경보호 마취 전략
수술 후 인지기능장애(POCD)는 특히 고령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환자의 삶의 질 저하와 장기적인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마취 약물의 선택과 투여 방법, 그리고 신경보호 전략이 수술 후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덱스메데토미딘, 프로포폴 등 다양한 마취제의 신경보호 효과와 그 기전을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덱스메데토미딘이 수술 중 및 수술 후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뇌 신경세포의 자가포식(autophagy) 조절을 통해 신경세포 손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Mini-Cog와 같은 인지기능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마취제 투여 전후의 인지기능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인지기능장애의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에서의 마취제 효과, 그리고 마취 중 뇌 산소포화도 및 혈류 변화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현장에서 고령 환자 및 신경계 질환 환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마취 전략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및 최신 기술을 활용한 마취 및 통증 관리
본 연구실은 초음파를 비롯한 최신 의료기술을 활용하여 마취 및 통증 관리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유도 신경차단술, 폐 초음파를 이용한 무기폐 평가, 그리고 다양한 체위 변화에 따른 혈관 및 신경 구조의 변화 분석 등은 임상 마취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한 Tuffier’s line 측정 연구를 통해 척추마취 시 바늘 삽입 위치의 정확도를 높이고, 고령 여성이나 임산부 등 특수 환자군에서의 마취 안전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 초음파를 활용하여 복강경 수술 중 무기폐 발생을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환기 모드에 따른 폐 손상 예방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초음파 유도하 신경차단술의 진통 효과, 부작용 감소, 그리고 수술 후 회복 촉진에 대한 임상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마취 및 통증 관리의 실현과, 마취 관련 합병증 감소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1
The Effect of Dexmedetomidine on the Mini-Cog Score and High-Mobility Group Box 1 Levels in Elderly Patients with Postoperative Neurocognitive Disorders Undergoing Orthopedic Surgery
Lee, Heeseung, Han, Jong In, Kim, Kye-Min, Kim, Won-Joong, Cho, Sooyoung, Kim, Yu-Hee, Jue, Mi Jin, Yoo, Seung Hee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310
2
Neuroprotective effect of dexmedetomidine on autophagy in mice administered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s of Aβ<sub>25-35</sub>
Lee Youn Young, Han Jong In, Lee Kyung Eun, Cho Sooyoung, Suh Eun Cheng
FRONTIERS IN PHARMACOLOGY, 202308
3
Heparin-free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a multiple trauma patient: A case report
정락경, 이윤영, 주현영, 백희정, 이희승, 김치효, 한종인, 우재희
MEDICINE, 2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