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KAIST Metabolic Reprogramming Laboratory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박병현 교수

KAIST Metabolic Reprogramming Laboratory(대사재프로그래밍 연구실)는 세포의 에너지 대사 변화와 그에 따른 질환 발생 및 진행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기관입니다. 본 연구실은 암, 비만, 당뇨, 지방간 등 다양한 대사질환에서 나타나는 대사 재프로그래밍 현상에 주목하며, 세포 내 에너지 대사의 변화가 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면역계와 대사계의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체의 건강 유지에 필수적임을 밝히고, 이들 네트워크의 붕괴가 만성 염증 및 대사질환의 주요 원인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사 재프로그래밍의 분자적 기전 규명과 더불어, 이를 표적으로 하는 혁신적 치료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소분자 화합물, 단백질 분해 유도제(PROTAC) 등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을 설계·개발하여, 대사질환의 원인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거나 분해함으로써 질환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Sirtuin 계열 단백질과 PAK4 등 대사질환의 핵심 신호전달 인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들의 조절 메커니즘과 질환과의 연관성을 동물 모델 및 임상 샘플을 활용하여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대사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등 다양한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연구실은 KAIST와 전북대학교의 공동 연구 체계를 기반으로,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와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신약 개발, 임상 적용, 바이오마커 발굴 등 실질적 성과 창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AIST Metabolic Reprogramming Laboratory는 대사 재프로그래밍의 새로운 원리와 치료 전략을 지속적으로 탐구하여, 대사질환 및 암 등 난치성 질환의 극복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세계적 연구 허브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