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Next-Generation Electronics Laboratory

성균관대학교 나노공학과 이진욱 교수

Next-Generation Electronics Laboratory(차세대 전자소자 연구실)는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전자 및 광전자 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칼코게나이드, 저차원 소재 등 혁신적인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 메모리, 방사선 검출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의 고성능 소자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재의 결정 성장, 계면 및 결함 제어, 대면적 공정 등 기초부터 응용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실리콘-페로브스카이트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과 안정성을 달성하고 있으며, 소재 조성 및 구조 최적화, 계면 엔지니어링, 진공 열증착 및 화학기상증착 등 다양한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변환 효율 극대화와 장기 신뢰성 확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다이오드, 양자점 소자, X-선 및 방사선 검출기 등 차세대 광전자 소자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저차원 구조 제어, 결함 패시베이션, 유무기 복합화 등 첨단 소재 공학 기술을 접목하여 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신개념 전자소자(인공 시냅스, 유연·신축성 소자 등)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연구실은 나노소재 기반 환경·에너지 세라믹스, 방사선 검출기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의 스마트 헬스케어, 에너지 하베스팅, 차세대 센서 등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정부, 산업체,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기술이전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진욱 교수 연구팀은 Nature, Science, Advanced Materials 등 세계적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수상 경력과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나노공학과 전자소자 분야의 혁신을 이끌며, 에너지·환경·정보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지속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