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NRL@KAIST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송현준 교수

Photocatalysis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Nanocatalysts

NRL@KAIST

화학과 송현준

NRL@KAIST(나노촉매 연구실)는 에너지 전환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첨단 나노구조 촉매의 설계, 합성, 분석,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산화탄소 환원, 수소 생성, 메탄 및 에틸렌 등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을 위한 광촉매 및 전기화학 촉매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다양한 금속 및 금속 산화물, 합금,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촉매의 활성, 선택성,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입자의 구조-물성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촉매 표면의 활성점, 계면, 결함, 도메인 구조 등이 반응 경로와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ZnO-Cu2O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메탄 전환, 구리 기반 나노입자의 에틸렌 선택적 전환, 귀금속 나노별 구조를 통한 고효율 촉매 등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플라즈모닉 나노입자와 단일 입자 분광법을 활용하여 촉매 반응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메커니즘 규명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플라즈모닉스와 단일 입자 분광법을 활용하여 나노촉매의 반응 메커니즘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분석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는 빛과 상호작용하여 강한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일으키며, 이 특성을 이용해 나노입자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벌크 분석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던 개별 입자 수준의 반응 경로, 속도, 구조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유기금속화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하이브리드 나노촉매의 합성과 그 응용에도 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팔라듐, 백금, 금, 은 등 귀금속과 전이금속을 다양한 산화물, 실리카, 탄소 구조체와 결합하여, 촉매의 활성점 노출, 전자 구조 조절, 계면 특성 제어를 통해 유기합성, 가스 센싱, 에너지 변환 등 다양한 반응에서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요크-쉘 구조, 코어-쉘 구조, 다중 셸 하이브리드, 비대칭 덤벨 구조 등 정밀한 나노구조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촉매의 활성, 선택성, 내구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태양광, 전기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화학공정의 실현을 목표로 하며, 대량 생산 및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촉매의 내구성, 재사용성, 공정 최적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 구현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하며, 나노과학 및 재료화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hotocatalysis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Nanocatalysts
나노구조 기반 촉매 설계와 에너지 전환 반응
본 연구실은 에너지 전환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나노구조 기반 촉매의 설계와 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환원, 수소 생성, 메탄 및 에틸렌 등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을 위한 광촉매 및 전기화학 촉매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금속 및 금속 산화물, 합금,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촉매의 활성, 선택성,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나노입자의 구조-물성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촉매 표면의 활성점, 계면, 결함, 도메인 구조 등이 반응 경로와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ZnO-Cu2O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메탄 전환, 구리 기반 나노입자의 에틸렌 선택적 전환, 귀금속 나노별 구조를 통한 고효율 촉매 등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라즈모닉 나노입자와 단일 입자 분광법을 활용하여 촉매 반응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메커니즘 규명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태양광, 전기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화학공정의 실현을 목표로 하며, 대량 생산 및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촉매의 내구성, 재사용성, 공정 최적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 구현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플라즈모닉스 및 단일 입자 분광법을 활용한 나노촉매 반응 모니터링
본 연구실은 나노플라즈모닉스와 단일 입자 분광법을 활용하여 나노촉매의 반응 메커니즘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분석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는 빛과 상호작용하여 강한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일으키며, 이 특성을 이용해 나노입자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벌크 분석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던 개별 입자 수준의 반응 경로, 속도, 구조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일 입자 다크필드 분광법과 산란 이미징 기술을 접목하여, 촉매 반응 중 발생하는 구조적 변화, 표면 활성점의 생성 및 소멸, 계면 전하 이동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금-은 합금 나노입자, 구리 산화물 나노입자, 금속-반도체 하이브리드 구조 등 다양한 촉매 시스템에서 전기화학적 또는 광화학적 활성화 과정, 반응 중간체의 형성, 전자-정공 재결합 동역학 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분석법은 나노촉매의 설계와 최적화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고효율, 고선택성, 고내구성 촉매 개발로 이어집니다. 또한, 이 기술은 환경 센서, 바이오센서, 에너지 변환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나노과학 및 재료화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기금속화학 및 하이브리드 나노촉매의 합성과 응용
연구실은 유기금속화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하이브리드 나노촉매의 합성과 그 응용에도 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팔라듐, 백금, 금, 은 등 귀금속과 전이금속을 다양한 산화물, 실리카, 탄소 구조체와 결합하여, 촉매의 활성점 노출, 전자 구조 조절, 계면 특성 제어를 통해 유기합성, 가스 센싱, 에너지 변환 등 다양한 반응에서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요크-쉘 구조, 코어-쉘 구조, 다중 셸 하이브리드, 비대칭 덤벨 구조 등 정밀한 나노구조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촉매의 활성, 선택성, 내구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설계는 촉매 표면의 활성점 밀도 증가, 반응물의 확산 경로 최적화, 전자 전달 효율 향상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또한, 표면 기능화 고분자, 생체분자, 이종 금속 도입 등을 통해 촉매의 다기능화와 새로운 반응 경로 개척에도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기금속화학 기반 하이브리드 나노촉매는 탄소-탄소 결합 형성, 수소화, 산화, 가스 감지, 광촉매 반응 등 다양한 유기 및 무기 반응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실제 산업 공정 및 환경 모니터링, 바이오센서 등 실용적 응용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Cysteine-Induced Multi-Petal Growth on Gold Nanostructures as SERS Substrates and for Electrochemical CO2 Reduction and Glucose Oxidation
H. Kim, H. Hwang, J. Kim, J. Park, S. Hong, S. Kim, Y. Yang, H. Song
ACS Appl. Nano Mater., 2025
2
Bottlebrush Polymer Patches Template Heterometal Growth on a Gold Nanoparticle Surface
M. Kim, J. Nam, J. Kim, H. Hwang, M. Seo, H. Song
Nanoscale, 2025
3
Switching Methane Selectivity in Carbon Dioxide Electroreduction via Confining Cu(I) Oxide Nanocubes by Polyimine Shells
J.-Y. Jung, J. Lee, Y. Kim, D. Shin, J. Park, S. Kim, H. R. Byon, H. Kim, H. Song
ACS Catal., 2025
1
(통합EZ)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2024년도)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증기-보조 변환을 통한 표면 정렬된 금속-유기 골격체 필름의 형태 제어 및 촉매 특성 연구(2024년도)
한국과학기술원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2024년 03월 ~ 2024년 12월
3
(통합EZ)(오현철)(3/3차년도)금속-단백질 혼성 나노구조의 플라즈몬-결합 키랄 특성 조절 연구(2023년도)
한국연구재단
2023년 09월 ~ 2024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