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국내 자생식물 자원을 통한 천연물의약품 개발

본 연구실은 국내 자생식물 자원을 활용하여 천연물의약품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다양한 약용식물과 희귀식물을 수집, 분류, 재배하여 이들로부터 유래한 생리활성 성분을 탐색하고, 이 성분들이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약초원 설립 및 운영을 통해 약용식물의 현지 자생 환경을 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약 및 기능성 신소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천연물의약품 개발 과정에서는 식물의 학명 표기법, 표준화된 분류 체계, 그리고 효율적인 자원화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실은 학명 표기법의 정확한 적용과 라틴어 문법 준수, 명명자 인용 등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식물 분류 및 명명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용식물의 생태계 다양성 보전과 자연 친화적 교육을 병행하여, 미래 세대에게 생약학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천연물의약품의 개발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신소재, 그리고 생태계 보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국내 자생식물 자원의 체계적 연구와 활용은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성분의 분리, 정제 및 구조동정

본 연구실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생리활성 성분의 분리, 정제 및 구조동정에 대한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광학적 방법(NMR, MS, IR, UV 등)과 화학적 분석법을 활용하여 천연물 내 유효성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하고, 이들의 생리활성 기전을 규명합니다. 특히, open column chromatography, HPLC, on-line hyphenated HPLC,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CPC) 등 최신 분리·정제 기술을 적용하여 복잡한 천연물 혼합물로부터 활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합니다. 이 과정에서 in vitro 생리활성 기법을 도입하여, 분리된 성분의 항산화, 항염증, 항암, 근위축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평가합니다. 또한, HPLC-DAD-MS 등 다성분 동시분석법과 패턴 분석(fingerprint) 기법을 통해 천연물 소재의 품질 평가 및 표준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준화 연구는 천연물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신뢰성 확보와 산업적 활용에 필수적입니다. 구조동정 및 생리활성 평가 연구는 신약 개발, 기능성 식품 소재 발굴, 그리고 특허 창출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본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등록과 논문 발표를 통해 천연물 유래 신소재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외 바이오·제약 산업과의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골격근 위축 및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반 신약 개발

최근 본 연구실은 골격근 위축 및 근감소증(사코페니아)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반 신약 및 기능성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한약재, 식물, 곤충 등 천연자원에서 유래한 성분을 대상으로 근육세포(C2C12 myotubes) 및 동물 모델에서 근위축 예방 및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 그 기전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근육 단백질 합성 촉진, 단백질 분해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특히, 방기, 지골피, 생지황, 은시호, 배암차즈기 등 다양한 한약재 추출물 및 분리 성분이 근위축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특허 출원 및 논문 발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아피게닌-7-글루쿠로나이드, 29-하이드록시프리시아스테론, 디코토민 B 등 신규 활성 성분을 발굴하여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근감소증 및 근위축 관련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천연물 기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제로 본 연구실은 관련 특허 다수와 국내외 학술지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산업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