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Microbial Bioengineering Lab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한성옥 교수

미생물 바이오공학 연구실은 미생물의 대사공학, 합성생물학, 효소공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바이오화학 및 바이오소재 생산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Corynebacterium glutamicum, Yarrowia lipolytica,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다양한 산업용 미생물을 유전자 및 대사공학적으로 개량하여, 이소프로판올, L-히스티딘, L-카르노신, 에르고티오네인,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등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학물질의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생산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농업 폐기물, 해양 바이오매스, 식품 폐기물 등 다양한 재생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여, 바이오연료,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사 경로 재설계, 효소 복합체 조립, 표면 디스플레이, 인공 스캐폴드 단백질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기존의 화학적 생산 방식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생분해 및 바이오업사이클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PET, PE 등 난분해성 플라스틱의 분해 효소 및 미생물 시스템을 개발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바이오서팩턴트, 바이오연료, 신소재 등으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원 순환과 환경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순환 바이오경제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합성생물학 및 시스템 효소공학을 융합하여, 포르피린, 피코빌린, 빌리버딘, Zn-포르피린 등 신기능성 바이오소재의 대량생산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오믹스 및 시스템 생물학적 분석, 인공지능 기반 효소 설계, 대사 네트워크 모델링 등 다양한 융합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바이오산업의 신시장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미생물 바이오공학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과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선도하는 핵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바이오화학 및 바이오소재 생산, 폐기물 자원화, 신기능성 소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