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구강 미생물 다양성 및 병원성 연구
본 연구실은 구강 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이들 미생물이 구강 건강 및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구강 미생물의 분리, 동정, 유전체 분석을 통해 구강 내 미생물 군집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하고, 이들이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등 구강 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합니다. 특히, Fusobacterium, Prevotella, Streptococcus 등 주요 구강 병원성 세균의 유전체 비교 분석과 병원성 기전 연구를 통해, 각 균주의 특성과 이들이 숙주와 상호작용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실시간 PCR, 종-특이적 프라이머 개발 등 첨단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강 미생물의 병원성 규명뿐만 아니라, 구강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국민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물 기반 항균·항염 소재 개발
연구실에서는 치주질환 및 구강 감염 예방을 위한 천연물 기반의 항균 및 항염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망고스틴, 프로폴리스, 석류, 정향 등 다양한 천연 추출물의 항균 및 항염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이들이 구강 병원성 세균 및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연물의 유효 성분을 분리·정제하여 구강 내 주요 병원성 세균(예: Porphyromonas gingivalis, Fusobacterium nucleatum 등)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치주 조직의 염증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모델 및 세포 실험을 통해 천연물 소재의 안전성과 효능을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강 건강 기능성 소재 및 구강 위생용품 개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고, 부작용이 적은 친환경적 구강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치주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