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지영 연구실

광주과학기술원 본교(제1캠퍼스) 신소재공학부

조지영 교수

Oxide Nanostructures

Ferroelectric Thin Films

Energy Storage Capacitors

V3_minor

조지영 연구실

신소재공학부 조지영

신소재공학부의 연구실은 강유전체 박막, 산화물 나노구조체,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 등의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이 연구실은 다양한 프로젝트와 연구 성과를 통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는 (110)-방향 PMN-PT 기판에 성장한 강유전체 SrMnO3 박막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고, (2023)년에는 초고에너지 밀도와 파괴 강도를 가진 Co:BaTiO3/Sn:BaTiO3 이종구조 박막 커패시터를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에는 다기능 논리 게이트와 고전압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의 양극성 광반응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연구실은 전기열량 냉각 소자 및 강탄성 유전 박막 구조체 등의 특허도 보유하고 있어, 관련 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Oxide Nanostructures
Ferroelectric Thin Films
Energy Storage Capacitors
고에너지 밀도 및 고내전압 박막 커패시터 연구
신소재공학부의 연구팀은 고에너지 밀도와 고내전압 특성을 갖춘 박막 커패시터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주로 Co:BaTiO3와 Sn:BaTiO3 이종구조 박막을 이용하여 높은 에너지 저장 용량과 내전압 성능을 갖춘 커패시터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커패시터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와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다양한 합성 방법과 박막 증착 기법을 통해 최적의 물리적 및 전기적 특성을 지닌 재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위한 강유전성 얇은 막 연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발전을 위해 강유전성 얇은 막의 특성 및 응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HfO2 기반의 강유전성 박막을 통해 높은 데이터 저장 용량과 빠른 쓰기 속도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외부 전계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다중 단계의 화학적 증착 및 어닐링 과정을 통해 열적 및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재료를 제작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소형화와 고성능화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1
Ferroelectric SrMnO3 Thin Film Grown on (110)-Oriented PMN-PT Substrate
Seong Min Park, Jaegyu Kim, Gopinathan Anoop, WooJun Seol, Su Yong Lee, Hyunjin Joh, Tae Yeon Kim, Je Oh Choi, Seungbum Hong, Chan-Ho Yang, Hyeon Jun Lee, Ji Young Jo
Phys. Status Solidi RRL, 2024
2
Polarization reversal dynamics of ferroelastic nanodomains in Pb(Zr,Ti)O3 thin film
Je Oh Choi, Bo Wang, Hiroshi Funakubo, Ji Hye Lee, Su Yong Lee, Long-Qing Chen, Tae Won Noh, Ji Young Jo, Hyeon Jun Lee
Acta Materialia, 2024
3
Co:BaTiO3/Sn:BaTiO3 Heterostructure Thin-Film Capacitors with Ultrahigh Energy Density and Breakdown Strength
Je Oh Choi, Tae Yeon Kim, Seong Min Park, WooJun Seol, Hyunjin Joh, Gopinathan Anoop, Ji Young Jo
Adv. Electron. Mate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