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헌 연구실
지역환경토목학과 송정헌
송정헌 연구실은 농업수공 및 수문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농업용 저수지, 관개지구, 논 등 다양한 농업 기반 시설을 대상으로 물순환 구조와 수자원 관리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수문 모형 개발, 저수지 운영 시뮬레이션, 관개 효율 분석 등 다양한 정량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농촌유역의 물환경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 극한 기상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수공 시스템의 적응 방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저수지 및 관개지구의 용수 공급량 예측, 홍수 및 가뭄 위험 평가, 농업용수의 효율적 분배 전략 등 실질적인 물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농촌 지역의 물환경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또한, ICT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물관리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IC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농업 물관리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IoT 센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하여 농촌유역의 물환경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물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업용수의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효율적인 물 분배와 재해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농업 비점오염 저감, 수질 개선, 저수지 및 하천의 홍수위 해석, 비정상성 강우 분석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수문·수질 센서와 데이터 로거를 활용하여 저수지, 하천, 논 등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통합·해석함으로써 물순환의 동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합니다. 또한, ICT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여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전문가 지식과 현장 데이터를 연계하여 맞춤형 물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농업 생산의 안정성 확보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생태계 보전, 수질 개선, 재해 예방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송정헌 연구실은 농업수공 및 수문학, 스마트 물관리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촌유역 물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입니다.
농업수공 및 수문학 기반의 농촌유역 물관리
농업수공 및 수문학은 농촌 지역의 물순환, 수자원 관리, 그리고 농업 생산성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농업용 저수지, 관개지구, 논 등 다양한 농업 기반 시설을 대상으로 물의 흐름, 저장, 분배 및 재이용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수문 모형, 저수지 운영 시뮬레이션, 관개 효율 분석 등 다양한 정량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농촌유역의 물순환 구조와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 극한 강우, 가뭄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수공 시스템의 적응 방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저수지 및 관개지구의 용수 공급량 예측, 홍수 및 가뭄 위험 평가, 농업용수의 효율적 분배 전략 등 실질적인 물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농촌 지역의 물환경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또한, ICT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물관리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 생산의 안정성 확보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생태계 보전, 수질 개선, 재해 예방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농업수공 및 수문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촌유역 물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입니다.
ICT 및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농업 물관리 기술 개발
최근 농업 분야에서는 ICT(정보통신기술)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 기술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IoT 센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하여 농촌유역의 물환경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물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업용수의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효율적인 물 분배와 재해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다양한 수문·수질 센서와 데이터 로거를 활용하여 저수지, 하천, 논 등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통합·해석함으로써 물순환의 동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합니다. 또한, ICT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여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전문가 지식과 현장 데이터를 연계하여 맞춤형 물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스마트 물관리 기술은 기후변화, 극한 기상현상, 농업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줍니다. 더 나아가, 농업 생산성 향상, 물 자원의 효율적 이용, 환경 보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농촌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Prediction of the effects of management practices on discharge and mineral nitrogen yield from paddy fields under future climate using APEX-paddy model
Kamruzzaman, M (Kamruzzaman, M, Hwang, S (Hwang, Syewoon), Choi, SK (Choi, Soon-Kun), Cho, J (Cho, Jaepil), Song, I (Song, Inhong), Jeong, H (Jeong, Hanseok), Song, JH (Song, Jung-Hun), Jang, T (Jang, Teail), Yoo, SH (Yoo, Seung-Hwa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202011
2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Drainage Routing Schemes for Paddy Fields
Song, JH (Song, Jung-Hun), Her, Y (Her, Younggu), Hwang, S (Hwang, Soonho), Park, J (Park, Jihoon), Yoon, KS (Yoon, Kwang-Sik), Kang, MS (Kang, Moon-Seong)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202009
3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climate models in reproducing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events
Song, JH (Song, Jung-Hun), Her, Y (Her, Younggu), Shin, S (Shin, Satbyeol), Cho, J (Cho, Jaepil), Paudel, R (Paudel, Rajendra), Khare, YP (Khare, Yogesh P.), Obeysekera, J (Obeysekera, Jay, Martinez, CJ (Martinez, Christ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JOURNAL DES SCIENCES HYDROLOGIQUES, 202007
1
ICT 빅데이터와 전문가 지식을 연계한 농촌유역 물환경 상세화 및 물관리 지원기술 개발
2
농촌유역 최적 물관리를 위한 ICT 기반 수문모형 개발 및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