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al Engineering and Modulation Lab
전기생체공학부/생체공학전공 장동표
Neural Engineering and Modulation Lab는 전기생체공학부/생체공학전공 소속으로, 신경전달물질 측정, 비침습 뇌 자극, 웨어러블 신경기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최첨단 고속스캔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생체 내 실시간 신경전달물질 기저농도 측정 기술 개발, 뇌심부-뇌피질 동시 자극이 가능한 고정밀 영상유도 다중주파수-다중위상-다중영역 비침습 전기자극 시스템 개발, 영장류 ECoG 기반 양방향 무선 BMI 시스템 개발 등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다수의 논문과 특허로 이어졌으며, 특히 신경전달물질 측정 분야에서 높은 연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Wearable Neurotechnology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Neurotransmitter Measurement
고속스캔순환전압전류법 기반 신경전달물질 기저농도 측정기술 개발
최첨단 고속스캔순환전압전류법을 활용하여 생체 내 신경전달물질의 기저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신경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파민과 같은 주요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경계의 생리적 및 병리적 상태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영상유도 다중주파수-다중위상-다중영역 비침습 전기자극 시스템 개발
뇌심부와 뇌피질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고정밀 영상유도 다중주파수-다중위상-다중영역 비침습 전기자극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신경계의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능적 뇌영상 기법을 통해 전기자극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자극 조건을 찾아내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비침습적으로 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1
The influence of object-location binding mental load effects on the visual N1 and N2 Event-related Potentials
Solwoong Song, Jinsick Park, Young Min Park, In Young Kim, Dong Pyo Jang
BMC Research Notes,
2
A Baseline-Tracking Single-Channel I/Q Impedance Plethysmogram IC for Neckband-Based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Monitoring
Chan Sam Park, Hyunjoong Kim, Kwangmuk Lee, Dae Sik Keum, Dong Pyo Jang
BMC Research Notes,
3
Feasibility of epidural temporal interference stimulation for minimally invasive electrical deep brain stimulation: simulation and phantom experimental studies
Sangjun Lee, Jimin Park, Da Som Choi, Seokbeen Lim, Youngjong Kwak, Dong Pyo Jang
Journal of Neural Engineering,
1
전기화학 기반 뚜렛 증후군 스마트 폐루프 뇌심부자극기술 개발 (연구 책임자)
2
뇌심부-뇌피질 동시 자극이 가능한 고정밀 영상유도 다중주파수-다중위상-다중영역 비침습 전기자극 시스템 개발 (공동 연구원)
3
귀 미주신경 자극(tVNS) 솔루션 자극 실험 및 임상 시험 (연구 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