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Nano Bio Analysis lab

성균관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화학과

윤완수 Wan Soo Yun 교수

Biomolecule Detection

Pathogen Quantitation

Electrochemical Sensors

V3_minor

Nano Bio Analysis lab

화학과 윤완수 Wan Soo Yun

Nano Bio Analysis Lab는 화학과에 소속된 연구실로서, 전기화학 센서와 나노 및 마이크로 갭 소자를 이용한 생체분자 및 병원체 검출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3,5-디니트로벤조에이트와의 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한 크레아티닌의 선택적 전기화학적 정량화 연구, 병원성 아스페르길루스 니거의 선택적 검출을 위한 전기화학 마이크로갭 면역센서 개발, 그리고 공기 중 바이러스의 초저농도 검출을 위한 재사용 가능한 표면 증폭 나노바이오센서 개발 등이 있습니다. 또한, 액체 추출 장치 및 생체분자의 능동형 검출방법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Biomolecule Detection
Pathogen Quantitation
Electrochemical Sensors
전기화학적 나노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창의적 진단 기술
집적 나노 갭 소자를 기반으로 한 전기화학적 나노바이오센서는 질병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연구는 나노 및 마이크로 갭 소자가 집적된 전기화학 센서를 활용하여 생체물질, 단백질,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고감도 및 선택적 검출과 정량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 질환, 만성 질환 및 기타 생물학적 상태의 조기 진단이 가능해지며, 진단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재사용 가능한 나노바이오센서의 개발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여 실용적인 진단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크레아티닌 정량을 위한 혁신적 전기화학 센서 기술
크레아티닌은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바이오마커로, 본 연구에서는 3,5-디니트로벤조에이트와의 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한 고선택적 전기화학적 정량 기술을 개발합니다. 이 기술은 신장 질환 진단 및 관리에 있어 높은 정확성과 민감성을 제공하며, 기존의 복잡한 분석 방법을 간소화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크레아티닌 정량의 효율적 방법을 통해 의료 현장에서 더욱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제공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1
Electorchemical microgap immunosensors for selective detection of pathogenic Aspergillus niger
Jisu Lee, Semee Kim, Ha Young Chung, Aeyeon Kang, Seunghun Kim, Heeyoun Hwang, Sung Ik Yang, Wan Soo Yu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21
2
Calibration curve-free electrochemical quantitation by micro-nano multi scale gap devices
Aeyeon Kang, Jiho Ryu, Jisu Lee, Seunghun Kim, Cho Yeon Lee, Wan Soo Yun
Microchimica Acta, 2021
3
Effective Diagnosis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 Serotypes O and A Based on Optical and Electrochemical Dual-Modal Detection
Yun-Jung Hwang, Kyung-Kwan Lee, Jong-Won Kim, Kwang-Hyo Chung, Sang-Jick Kim, Wan-Soo Yun, Chang-Soo Lee
Biomolecules,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