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생체 및 의료용 고분자 기반 pH-반응성 약물전달 시스템
이은성 연구실은 생체 및 의료용 고분자를 활용한 pH-반응성 약물전달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암 조직의 미세환경은 일반 조직에 비해 약산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pH-감응성 고분자(예: 히알루론산, 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등)를 기반으로 한 나노입자, 마이크로입자, 나노젤, 리포좀 등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약산성 환경에서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내포된 항암제, 단백질, 펩타이드, 유전자 등의 방출을 조절함으로써, 표적 부위에서의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3-디에틸아미노프로필(3-diethylaminopropyl)과 같은 pH-감응성 작용기를 고분자에 도입하여, 약산성 환경에서의 이온화 및 구조 붕괴를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안정적 봉입과 체내 순환 중 손실 최소화, 그리고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신속한 방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다양한 암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이러한 시스템의 우수한 약물 전달 및 항암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pH-반응성 약물전달 시스템은 기존의 비특이적 약물 전달 방식에 비해 부작용을 줄이고, 정상 조직에 대한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다양한 고분자 구조와 조합을 탐색하여, 맞춤형 약물전달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2
광역학 및 광열 치료용 고분자 나노플랫폼 개발
연구실은 빛에 반응하는 광감작제(예: 클로린 e6, 풀러렌, 금 나노입자 등)와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융합한 광역학 및 광열 치료용 나노플랫폼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는 나노입자에 광감작제를 결합하여, 외부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활성산소(싱글렛 산소) 생성 또는 국소적 열 발생을 유도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히알루론산,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콜키토산 등 다양한 고분자와 금 나노입자, 풀러렌, 클로린 e6 등 광감작제를 결합한 다기능성 나노입자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암세포 표면의 CD44, 인테그린 등 특정 수용체를 표적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암 조직 내 선택적 축적과 치료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pH-감응성 구조를 도입하여, 암 미세환경에서만 활성화되는 스마트 치료 플랫폼을 구현하였습니다. 이러한 광역학 및 광열 치료용 나노플랫폼은 기존 항암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암종에 적용 가능한 차세대 정밀의료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새로운 광감작제 및 고분자 조합, 복합 치료 전략(예: 화학요법과 광치료의 병용)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