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학 연구실
치의학과 김동운
치의학과 연구실은 지난 3년간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와 성과를 통해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특히 나노입자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와 신경염증 조절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에는 효소로 절단 가능한 펩타이드와 결합된 이중 민감성 PAMAM 유도체를 합성하여 유전자 운반체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2022년에는 페폭세나딘이 로드된 나노입자를 이용해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통증 완화 효과를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미세아교세포를 타겟으로 한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 병 모델에서 아밀로이드-β 제거를 증가시키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양한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Neuropathic Pain
Gene Therapy
Neuroinflammation
나노입자를 통한 신경병증 통증 치료
치의학과의 연구팀은 나노입자를 활용한 신경병증 통증 치료에 대한 연구를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폴리(lactic-co-glycolic acid) 나노입자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시키는 특성을 활용하여 신경병증 통증의 기전을 새롭게 밝혀냈습니다. 또한, 펙소페나딘을 탑재한 나노입자를 이용해 척추 미세아교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통증 완화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키는 연구도 진행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신경병증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Peptide-mediated targeted delivery of SOX9 nanoparticles into astrocytes ameliorates ischemic brain injury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23
2
Red stem of spinach promot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hondroprotection in a rat model of osteoarthritis
ELSEVIER, 2023
3
PINK1 siRNA-loaded poly(lactic-co-glycolic acid) nanoparticles provide neuroprotection in a mouse model of photothrombosis-induced ischemic stroke
WILEY,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