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tenergy Lab
화학공학부 박기태
Sustenergy Lab은 화학공학부에 속한 연구실로, 전기촉매 및 전극 재료, 유기-무기 복합막을 이용한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EMFC)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탄소 자원으로부터 탄화수소 제품을 전기합성하는 기술, 염소-알칼리 시스템을 위한 산소 탈극화 음극(ODC) 개발, 이산화탄소 전환을 위한 효소-금속 하이브리드 전극 및 고효율 가스상 전기촉매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Sustenergy Lab은 지난 3년간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통해 전기화학적 CO2 전환 시스템, 재생 가능 에너지의 화학 및 연료로의 전환 및 저장 시스템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SnO₂/ZnO 복합 중공 나노섬유 전기촉매를 이용한 CO2 환원 및 다양한 전기화학적 시스템 개발에 있어 높은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Energy Storage System (ESS)
Electrocatalysis
Chlor-Alkali Electrolysis
고효율 CO2 전기화학적 전환 시스템
Sustenergy Lab은 고효율 CO2 전기화학적 전환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저탄소 자원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합성 기술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포름산 등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SnO2/ZnO 복합 나노섬유 전기촉매 및 Cu3(BTC)2 금속-유기 골격체와 그래핀을 이용한 전환 기술을 개발하여 높은 효율과 선택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재생 가능한 전기 에너지를 화학적 연료로 전환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용 유/무기 복합막
Sustenergy Lab은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의 성능 향상을 위해 유기/무기 복합막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촉매층에 친수성 SiO2 입자를 추가하여 저습 조건에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PEMFC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성능 복합막 기술은 연료 전지 시스템의 상용화 및 실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Recent Progress in Electrocatalytic CO2 Reduction to Pure Formic Acid Using a Solid-State Electrolyte Device
Yeomin Kang, Taekyung Kim, Koo Young Jung, Ki Tae Park*
Catalysts, 2023
2
Deciphering mass transport behavior i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by manipulating porous structures of atomically dispe…
Seunghyun Lee, Ye Eun Jeon, Seonggyu Lee, Wonhee Lee, Seongbeen Kim, Jaeryung Choi, Jinkyu Park, Jeong Woo Han, You Na Ko, Young Eun Kim, Jinwon Park, Jungbae Kim*, Ki Tae Park*, Jinwoo Lee*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3
3
Promoting CO2 reduction to formate selectivity on indium-doped tin oxide nanowires
Daniel Tan, Wonhee Lee, Ki Tae Park, Ye EunJeon, Jumi Hong, You Na Ko, Young Eun Kim
Applied Surface Scien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