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주종훈 교수
에너지/환경 소재 연구실은 연료전지, 청정수소 생산, 전고체 배터리, 암모니아 생산, 반도체 소재 등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소재 분야의 첨단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재의 근본적 특성 이해와 더불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료전지와 고체산화물 전기화학 소자(SOFC, SOEC) 개발, 청정수소 생산 및 이산화탄소 자원화, 결정결함화학 기반 첨단 세라믹 소재 응용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연료전지 및 고체산화물 전기화학 소자 개발은 고효율, 고내구성, 고안정성 소재 설계와 전기화학 반응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또한, 알칼라인 수전해, 고체산화물 전기분해, 촉매 반응 등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및 CO2 자원화 기술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세라믹 소재의 결정결함화학, 전기화학, 나노구조화, 표면 개질 등 첨단 소재 과학의 이론과 실험을 융합하여, DRAM용 high-k 소재, 바이오세라믹, 항균 세라믹, 물 정화용 세라믹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등 산업체와의 산학협력, 대형 국책과제 수행, 국내외 특허 및 논문 발표 등 다양한 성과를 통해 연구실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에너지/환경 소재 연구실은 소재 과학의 근본적 이해와 실용화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선도적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연구실은 학생 및 연구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다양한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환경 소재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 역량 강화와 혁신적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외 에너지·환경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