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The NanoEChem Lab

경상국립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화학과-분석화학전공

권승용 교수

Surface Functionalization

Iontronic Circuits

Electroactive Linkage Molecules

V3_minor

The NanoEChem Lab

화학과-분석화학전공 권승용

The NanoEChem Lab은 화학과 분석화학 전공의 연구실로, 표면 기능화, 전기활성 결합 분자, 라벨 프리 검출, 염분 농도 차 발전, 이온트로닉 회로 등의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표면 기능화와 전기활성 결합 분자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에는 다기능 나노포어 전극 배열 방법을 통해 단일 개체를 아톨리터 부피의 밀폐 공간에서 특성화하고 조작하는 연구를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염분 농도 차 발전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나노채널 배열을 이용한 발전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R&D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Surface Functionalization
Iontronic Circuits
Electroactive Linkage Molecules
pH 및 전위 조절이 가능한 블록 공중합체 나노채널 막 연구
이 연구는 pH 및 전위에 의해 다중 모드로 조절 가능한 블록 공중합체 나노채널 막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막은 다양한 조건에서 이온 및 분자의 선택적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생화학적 및 환경적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채널 내의 습윤 및 탈습 현상을 조절함으로써, 고효율의 물질 수송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전기화학적 제로 모드 웨이브가이드 기반 단일 분자 분석
이 연구는 전기화학적 제로 모드 웨이브가이드를 활용하여 단일 분자의 형광 신호를 전위에 따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단일 분자 수준에서의 생화학적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나노포어 전극 배열을 사용하여 높은 민감도로 단일 은 나노입자의 포획 및 검출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생물학적 센싱 및 질병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pH and Potential-Controlled Multi-modal transport in block Co-polymer Nano-channel Membranes
Soongyu Han, Yerin Bang, Jeongse Yun, Seol Baek, Sungkuk Kim, Jaewon Choi, Sung Yul Lim, Donghoon Han, Seung-Ryong Kwon
Journal of Electroanalytical Chemistry, 2024
2
Multifunctional nanopore electrode array method for characterizing and manipulating single entities in attoliter-volume enclosures
Seol Baek, Allison R Cutri, Donghoon Han, Seung-Ryong Kwon, Julius Reitemeier, Vignesh Sundaresan, Paul W. Bohn
Journal of Applied Physics, 2022
3
Potential-induced wetting and dewetting in hydrophobic nanochannels for mass transport control
Seol Baek, Seung-Ryong Kwon, Paul W. Bohn
Current Opinion in Electrochemistr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