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최영철 교수
최영철 연구실은 토목환경공학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개발과 첨단 복합재료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시, 스테인리스 스틸 슬래그 등 다양한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시멘트 및 콘크리트 대체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의 환경부하를 줄이고, 자원순환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나노실리카, 이산화타이타늄(TiO2), 탄소나노튜브(CNT), 슈퍼흡수성 폴리머(SAPs), 천연섬유 등 다양한 기능성 나노소재와 첨단 복합재료를 활용한 차세대 콘크리트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의 도입을 통해 콘크리트의 미세구조 개선, 초기 및 장기 강도 향상, 내구성 증진, 자가치유 및 환경정화 기능 등 다양한 혁신적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오염물질 저감, 자가발열, 전기전도성 등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위한 미래지향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콘크리트의 자기치유 및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크리스탈 혼화제, SAPs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자기치유 성능을 극대화하는 배합 및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균열 자기치유 콘크리트, 자기치유 인공골재, 무기 바인더 등 혁신적인 재료를 실용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조물의 수명 연장과 유지관리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실 연구에 그치지 않고, 정부 및 산업계와의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 다수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친환경·고기능성 건설재료의 상용화와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최영철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기능성 나노소재 및 복합재료, 자기치유 콘크리트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미래 건설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건설재료 개발,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확보, 스마트 인프라 구축 등 사회적·산업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