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소재부품융합공학과 방창현 교수
방창현 교수 연구실(SP3 Lab)은 슈퍼지능형 고분자 3D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생체모사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로봇, 바이오메디컬 디바이스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자연계의 구조와 기능에서 영감을 받아, 고분자 재료와 첨단 나노/마이크로 공정 기술을 융합하여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전자소자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연구 분야로는 문어 빨판, 개구리 발바닥 등 생명체의 접착 메커니즘을 모사한 계층적 3D 고분자 구조체 개발, 비정형 리소그래피, 2D/3D/4D 프린팅, 나노구조 조립, 분자 수준의 화학 처리 등 다양한 첨단 공정 기술을 활용한 슈퍼지능형 고분자 3D 아키텍처 설계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피부 부착형 패치, 웨어러블 센서, 전자피부, 바이오신호 측정 소자, 약물전달 시스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소프트 로봇 및 햅틱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의 생체모사 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및 바이오일렉트로닉스 기술은 비침습적이고 통증이 없는 약물전달, 피부질환 관리, 스마트 헬스케어, 맞춤형 치료, 미용 및 재생의료 등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문어 빨판 구조를 모사한 나노섬유 기반 접착 전자소자, 미세바늘(마이크로니들) 패치, 음압 유도형 약물전달 시스템 등은 실제 임상 및 헬스케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소자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프트 로봇 및 햅틱 인터페이스 분야에서는 신축성 진동 햅틱 패치, 인공 손가락, 다기능 센서 등 미래 인터페이스 기술의 핵심을 이루는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자는 메타버스, 가상현실, 원격 조작, 의료 재활,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방창현 교수 연구실은 앞으로도 슈퍼지능형 고분자 3D 아키텍처와 생체모사 기반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스마트 헬스케어, 차세대 로봇, 가상현실/증강현실, 맞춤형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