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Metal Oxide DEsign Laboratory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

Metal Oxide Crystal Growth

Compositional Complex Metal Oxide Structures

Catalytic Materials

Metal Oxide DEsign Laboratory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Metal Oxide DEsign Laboratory(MODEL)은 금속 산화물 및 관련 소재의 결정 성장과 구조 제어, 그리고 이들의 응용을 선도적으로 연구하는 신소재공학과 소속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산화물 결정의 핵 생성과 성장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기존의 응용 중심 연구를 넘어 결정 성장 자체의 원리와 과정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금속 산화물은 화학적·열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구조적·전자적 특성을 지녀 에너지, 환경, 전자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활용됩니다. 본 연구실은 단일 금속 산화물뿐만 아니라, 다성분 금속 산화물(고엔트로피 산화물, 고엔트로피 이중층수산화물 등) 및 복합체(솔리드 솔루션, 복합체) 합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금속 원소의 조합을 통해 구조적, 전기적, 촉매적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용액 기반 합성법, 미세유동화, 층상 이중 수산화물 전구체 활용 등 혁신적 합성법을 개발하여 원자 수준에서의 조성 및 구조 제어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에너지 변환·저장, 환경 정화, 데이터 저장, 촉매 반응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특히, 에너지 분야에서는 고효율 수전해 촉매,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 태양광 기반 수소·암모니아 생산 시스템, 고성능 전기화학 촉매 등 차세대 에너지 기술의 핵심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환경 분야에서는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등 유해가스의 동시 저감 촉매, 폐수 및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원화 기술, 수질·대기 정화용 신소재 개발 등 실질적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저장, 센서, 메모리 소자 등 전자·정보기술 분야에서도 금속 산화물의 독특한 전기적·자성적 특성을 활용한 신개념 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험적 접근과 이론적 해석, 그리고 실제 산업 적용까지 연계된 융합 연구를 통해, 학문적·기술적·사회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특허,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국제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 솔루션과 첨단 신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Metal Oxide DEsign Laboratory는 금속 산화물 및 관련 소재의 결정 성장 원리 탐구, 다성분 소재의 혁신적 합성,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에너지·환경·전자 분야의 실질적 응용까지 아우르는 선도적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차세대 신소재 및 미래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글로벌 리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Metal Oxide Crystal Growth
Compositional Complex Metal Oxide Structures
Catalytic Materials
금속 산화물 결정 성장 및 성장 메커니즘 연구
금속 산화물의 결정 성장 과정은 재료과학, 화학공학, 나노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산화물 결정의 핵 생성과 성장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탐구하며, 기존의 응용 중심 연구를 넘어 결정 성장 자체의 원리와 과정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금속 산화물은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화학적·열적 안정성이 뛰어나 다양한 기술적 응용에 필수적인 소재로 꼽힙니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의 결정 성장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소재의 구조적 다양성과 전자적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결정 성장 메커니즘 연구에서는 고전적 성장 방식뿐만 아니라 비고전적 성장 메커니즘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결정의 크기, 형태, 노출 면에 따라 물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성장 과정에서의 미세한 변수 제어가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실험적 접근과 이론적 해석을 통해, 결정 성장의 미세 조절 및 새로운 구조 창출을 위한 기반 지식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금속 산화물의 구조적·기능적 혁신을 이끌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환경, 전자소자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소재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결정 성장 메커니즘의 심층적 이해는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첨단 기술에 적합한 맞춤형 금속 산화물 소재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결정 성장의 근본 원리 탐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혁신적 소재 개발에 매진할 것입니다.
다성분 금속 산화물 및 복합체 합성, 구조 제어와 응용
본 연구실은 단일 금속 산화물뿐만 아니라, 다성분 금속 산화물(고엔트로피 산화물, 고엔트로피 이중층수산화물 등) 및 복합체(솔리드 솔루션, 복합체) 합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성분 금속 산화물은 다양한 금속 원소의 조합을 통해 구조적, 전기적, 촉매적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기존 소재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다기능성과 고유의 특성을 발현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용액 기반 합성법, 미세유동화, 층상 이중 수산화물 전구체 활용 등 다양한 혁신적 합성법을 개발하여, 원자 수준에서의 조성 및 구조 제어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성분 금속 산화물 및 복합체는 에너지 변환·저장(수소 생산, 이산화탄소 환원, 암모니아 합성 등), 환경 정화(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등 유해가스 저감), 데이터 저장, 촉매 반응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촉매의 활성, 선택성,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금속 이온 분포 제어, 계면 구조 설계, 나노구조화 등 소재 설계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대면적·대량 생산 공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차세대 전자소자, 촉매, 센서 등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 개발로 이어집니다. 본 연구실은 다성분 금속 산화물의 조성·구조·기능의 상관관계 규명과 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소재 설계, 그리고 실제 응용까지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금속(하이드록시)산화물의 기능성 및 응용: 에너지·환경 촉매와 신소재 개발
금속 산화물 및 하이드록시산화물의 구조적·전자적 특성을 활용하여, 에너지 변환·저장(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암모니아 합성 등), 환경 정화(유해가스 저감, 수질·대기 정화), 데이터 저장, 촉매 반응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 소재와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결정 성장 및 구조 제어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구조의 금속 산화물/하이드록시산화물을 창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효율 촉매, 전극, 센서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분야에서는 고효율 수전해 촉매, 이산화탄소 전환 촉매, 태양광 기반 수소·암모니아 생산 시스템, 고성능 전기화학 촉매 등 차세대 에너지 기술의 핵심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환경 분야에서는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등 유해가스의 동시 저감 촉매, 폐수 및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원화 기술, 수질·대기 정화용 신소재 개발 등 실질적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저장, 센서, 메모리 소자 등 전자·정보기술 분야에서도 금속 산화물의 독특한 전기적·자성적 특성을 활용한 신개념 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적 접근과 이론적 해석, 나아가 실제 산업 적용까지 연계되어, 학문적·기술적·사회적 파급효과가 매우 큽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하이드록시)산화물의 구조-기능-응용의 전주기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 솔루션과 첨단 신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Enhanced Bifunctional Electrocatalysis for Zinc-Air Battery using Porous Conductive Substrate with Abundant Anchoring Sites
Jongkyoung
Advanced Science, 2025
2
Hexagonal Boron Nitride Heterostructure to Control the Oxidation States and SO2 Resistance of the V2O5-WO3/TiO2 Catalyst for the NH3-SCR Reaction across a Wide Temperature Range
Myeung-Jin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 and Energy, 2025
3
Coupling Furfural Oxidation for Bias-Free, High-Performance H2 Production Using Crystalline Silicon Photoelectrodes
Wonsik
Nature Communications, 2025
1
세계 최고 수준의 내식성을 갖는 마그네슘 신 합금 (염수환경 부식속도 0.3mmpy 이하) 기반 40% 이상 경량화 자동차 부품 개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2년 ~ 2022년 12월
2
이중층수산화물을 전구체로 이용한 금속산화물 복합체 형성 및 응용 연구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2021년 03월 ~ 2022년 02월
3
온사이트 수소충전소를 위한 광전기화학 수소생산기술 및 시스템 개발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2020년 03월 ~ 2020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