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훈 연구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박성훈
박성훈 연구실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소속으로, 나노구조체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고감도 가스 센서 및 광소자 개발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는 금속 산화물 나노와이어, 나노튜브, 나노로드 등 다양한 1차원 및 2차원 나노구조체의 합성과 이들의 표면 개질을 통한 센서 성능 극대화입니다. 특히, 표면에 귀금속(금, 팔라듐, 백금 등) 또는 산화물 나노입자를 장착하여 가스 분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이종 접합 구조를 활용해 감도와 선택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통적으로 고온에서만 동작하던 금속 산화물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외선(UV) 및 가시광선 등 광에너지를 활용한 상온 구동 센서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광활성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실온에서도 NO2, H2, 아세톤, 에탄올, 톨루엔 등 다양한 유해 가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구현하였으며, 이는 저전력, 소형화, 모바일 및 IoT 플랫폼 적용에 매우 유리한 특성을 가집니다.
또한, 연구실은 다양한 나노구조체의 합성 방법론(수열합성, 전기방사, 열증발 등)과 표면 개질, 이종 접합(p-n, n-n, Schottky 등) 제어, 촉매 효과 극대화, 표면 결함 제어 등 물리·화학적 요소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센서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센서의 응답 속도, 회복 속도, 장기 안정성, 환경 내성 등 실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성능 지표도 심도 있게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환경 모니터링, 산업 안전, 의료 진단(예: 호기 내 아세톤 검출을 통한 당뇨 진단), 스마트홈,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과 협력하여 저전력, 다중가스 검출, 소형화 센서 모듈 개발 등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박성훈 연구실은 나노소재 합성부터 소자 제작, 성능 평가, 실용화 기술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미래 지능형 센서 및 반도체 시스템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나노기술과 반도체 공정, 광에너지 활용 기술을 융합하여, 차세대 스마트 센서 및 응용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것입니다.
나노구조 기반 고감도 가스 센서 개발
박성훈 연구실은 다양한 나노구조체(나노와이어, 나노튜브, 나노로드 등)를 활용한 고감도 가스 센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산화아연(ZnO), 이산화주석(SnO2), 인듐옥사이드(In2O3), 니켈옥사이드(NiO) 등 다양한 금속 산화물 나노구조체를 합성하고, 이들 나노구조체의 표면에 귀금속(금, 팔라듐, 백금 등) 또는 산화물 나노입자를 장착하여 센서의 감도와 선택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면 개질 및 이종 결합 구조는 가스 분자의 흡착 및 반응 특성을 크게 향상시켜, 극미량(ppb~ppm 수준)의 가스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연구실은 다양한 가스(수소, 아세톤, 에탄올,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등)에 대한 선택적 감지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나노구조체의 표면 특성, 이종 접합(p-n, n-n, Schottky 등), 촉매 효과, 표면 결함 제어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요소를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또한, 센서의 응답 속도와 회복 속도, 장기 안정성 등 실용화에 필요한 성능 지표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모니터링, 산업 안전, 의료 진단(예: 호기 내 아세톤 검출을 통한 당뇨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실 수준의 센서 개발을 넘어, 실제 모바일 플랫폼이나 IoT 기기에 적용 가능한 저전력, 소형화된 센서 모듈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광에너지 및 자외선(UV) 활성화 기반 상온 가스 센서 기술
박성훈 연구실은 자외선(UV) 및 가시광선 등 광에너지를 활용한 상온 구동 가스 센서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금속 산화물 기반 가스 센서는 고온(200~400℃)에서만 동작하는 한계가 있었으나, 연구실에서는 광활성화(특히 UV 조사)를 통해 상온에서도 높은 감도와 빠른 응답을 보이는 센서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광조사에 의해 생성된 전자-정공 쌍이 표면 반응성을 극대화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가스 분자의 흡착 및 탈착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나노구조체(예: ZnO, In2O3, SnO2, WO3 등)에 귀금속 또는 산화물 나노입자를 장착하고, UV-LED 또는 가시광 LED를 이용한 광활성화 조건을 최적화합니다. 이를 통해 NO2, H2, 아세톤, 에탄올, 톨루엔 등 다양한 유해 가스를 상온에서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습도, 온도 등 환경 변화에 대한 내성, 센서의 선택성 및 신뢰성 향상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에너지 기반 상온 센서 기술은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 환경 등 차세대 센서 플랫폼에 매우 적합합니다. 연구실은 실제 산업 현장 및 생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실용적 센서 모듈 개발을 목표로, 다중 가스 동시 검출, 소형화, 집적화 기술까지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1
Improved SnO2 nanowire acetone sensor with uniform Co3O4 nanoparticle decoration
박성훈, CAI ZHICHENG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202312
2
Room temperature selective detection of NO2 using Au-decorated In2O3 nanoparticles embedded in porous ZnO nanofibers
박성훈, CAI ZHICHENG, 박지호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202311
3
Fabrication of selective and highly sensitive triethylamine gas sensor using In2O3-SnO2 hollow nanospheres in room temperature activated by UV irradiation
Cai Zhicheng, Park Sunghoo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AND TECHNOLOGY-JMR&T, 202310
1
모바일 플랫폼 적용을 위한 이종 결합 나노입자의 에너지 밴드 및 표면구조 조절을 통한 저전력 녹색광 활성화 상온 가스 센서 모듈 제작(3차년도)
2
모바일 플랫폼 적용을 위한 이종 결합 나노입자의 에너지 밴드 및 표면구조 조절을 통한 저전력 녹색광 활성화 상온 가스 센서 모듈 제작(2차년도)
3
모바일 플랫폼 적용을 위한 이종 결합 나노입자의 에너지 밴드 및 표면구조 조절을 통한 저전력 녹색광 활성화 상온 가스 센서 모듈 제작(1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