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pressure variable-volume view cell 용해도 측정 장치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하승재 주로 이산화탄소와 용매의 Bubble point 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피스톤의 움직임으로 내부의 부피를 변화시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압력 발생기는 물을 사용하여 피스톤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셀 부피를 변화시키고 이는 곧 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셀 내부에 사파이어 글라스를 주입하여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셀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내부 현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찰하기 위해 borescope를 Monitor에 연결합니다. 시스템 온도는 temperature- controlled forced-convection air bath 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며, 셀 내부에 RTD temperature probe 을 주입하여 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합니다 ◆ 사양 - 압력 : ~ 4,136bar - Cell size : 16 mm i.d Ⅹ 70 mm o.d. - Cell volume : 31ml - Temperature : 140℃ - Pressure : 300bar
Vapor-liquid equilibrium 기-액 상평형 데이터 측정 장치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조정아 이 장비는 혼합물의 VLE data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셀 내부에 연결된 펌프로 혼합물을 순환시킴으로써 평형에 도달한 후, 소량의 기체와 액체를 채취하여 온라인 GC를 이용해 분석합니다. 또한 셀 내부의 온도센서와 압력센서를 이용해 정밀한 온도,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항온조 를 이용하여 매질을 순환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도와줍니다. 이 장비에서는 주로 끓는점이 100℃ 이내의 물질을 가지고 실험합니다 ◆ 사양 - Cell volume : 85ml - Temperature : 140℃ - Pressure : 300bar
High Temperature Vapor-liquid Equilibrium고온 기-액 상평형 데이터 측정 장치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조정아 이 장비는 고온에서 실험되어지는 기-액 혼합물들의 VLE data를 측정합니다. Heating mantle 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고 내장된 stirrer 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mixing 하면서 평형에 도달한 후, 기상을 응축기로 보내어 응축시켜서 채취합니다. 나머지 기상은 다시 셀 내부로 들어가서 혼합물을 순환시킵니다. 셀 내부의 온도 센서로 온도측정이 가능하며, 응축기로 보내는 통로를 heating tape로 감싸주어 온도를 유지시킵니다. 각각 기상과 액상을 채취한 sample을 GC로 분석합니다. ◆ 사양 - Cell volume : 500ml - Temperature : -20~450℃
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 (RESS)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정아영 RESS 공정은 초임계 유체에 대한 용해도가 비교적 큰 물질을 초임계 유체에 용해시킨 후, 미세노즐을 통하여 급속히 팽창시키면 초임계 유체가 가스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 용질이 용해력을 잃게 되고 빠른 시간 내에 과포화 되어 용해되어 있던 용질이 석출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과포화상태는 10-5~10-6 초의 매우 짧은 시간에 달성합니다. - 잔존 용매 없이 용질을 미세화하는데 유리 - 물질의 화학적 구조와 온도, 압력, 분사거리, 노즐의 형태의 변화로 입자의 크기, 형태 조절 가능 - 비교적 입자경 및 입자경분포가 좁은 입자 빠르게 얻을 수 있음 - 결정화와 건조가 동시에 일어나 추가공정 불필요 - 운전조건의 변화로 Whisker이나 Membrance의 결정화도 가능 ◆ 사양 - Temperature : 100℃ - Pressure : 1034 bar
Supercritical Fluid Anti-Solvent (SAS)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정아영 SAS공정은 용질이 용매에는 높은 용해도를 갖고 초임계 유체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으며, 용매는 초임계 유체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원리는 용질을 적절한 용매에 녹인 후 이를 Anitisolvent인 초임계유체와 혼합함으로써 용매의 용해력을 급격히 저하시켜 용액 중의 용질을 석출시키는 재결정 공정 장치입니다. 조작방법에 따라 GAS(Gas Anti Solvent), ASES(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SEDS(Solution Enhanced Dispersion by Supercritical fluids)로 나뉩니다. - 잔존 용매 없이 미세화하는데 유리 - 열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을 위한 재결정에 사용 가능 - 열에 민간함 의약품이나 단백질에 적용 가능 - 생분해성 고분자의 submicron 입자들을 생성 가능 ◆ 사양 - Cell volume : 200ml - Temperature : 100℃ - Pressure : 1034 bar
Supercritical Fluid System 초임계 추출 장치
호실 : 608호모델 : 일신오토클레이브담당자 : 조항규 이 장비는 초임계 유체의 용해력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추출단계와 분리단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추출단계에서는 시료와 초임계유체 용매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여 용해도의 차이에 의하여 시료 중의 가용성분이 초임계유체로 용해되어 추출됩니다. 추출 작업 조건(온도,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초임계 유체의 용해력을 변경시켜 시료중의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 사양 - Cell volume : 2000ml - Temperature : Max 200℃ - Pressure : Max 350℃
Supercritical De-binding System 초임계 탈지 장치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조항규 분말사출성형은 금속사출성형(MIM: Metal Injection Molding), 세라믹사출성형(CIM: Ceramic Injection Molding)으로 분류하는 기술로, 각종 금속 분말재료나 세라믹 분말재료를 적절한 바인더 시스템과 혼합하여 분말과 바인더 시스템의 분말 혼합체를 제조한 후에 이 분말 혼합체를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 원하는 형상의 제품(Green Body)을 만들고, 다시 그 중에 있는 바인더 시스템을 제거하여 최종적인 소결 공정을 통해 완성된 금속이나 세라믹 성형제품을 만드는 제조공법입니다. 또한 초임계 건조, 초임계 추출 장치로 응용 사용할 수 있는 장치 입니다. ◆ 사양 - Cell volume : 200ml - Heating mantle Temperature : Max 100℃ - Pressure: 300bar
Supercritical deposition 초임계 증착 장치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하승재 초임계 이산화탄소 분위기 하에서 고분자 콜로이드 주형에 금속 알콕사이드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매크로 기공을 갖는 역 오팔(Inverse opals) 구조물을 합성하는 장치이다. 반응온도, 반응압력, 반응시간과 반응물의 비율을 조절하여 역 오팔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장치이다. TiO2, SiO2를 제조 및 증착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초임계 공정을 이용한 증착 장치입니다. ◆ 사양 - Cell volume : 100ml - Temperature : Max 150℃ - Pressure : Max 300bar
Mutil Purpose Reactor 다목적용 반응기
호실 : 608호모델 : 자체제작담당자 : 조항규 다목적 초임계 반응기는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분해, 합성, 추출 등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열경화성수지(가교폴리에틸렌, 페놀수지) 재활용 연구, 아라미드 원료 인 PPD(p-phenylenediamine) 합성 등의 연구를 수행 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 사양 - Cell volume : 100ml, 500ml - Temperature : Max 500℃ - Pressure : Max 500b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