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준상 연구실
재료공학부 도준상
도준상 연구실은 재료공학과 면역학, 바이오공학이 융합된 첨단 연구를 수행하며,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을 위한 혁신적 플랫폼과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목표는 면역세포, 특히 NK 세포와 T 세포의 활성화, 증폭, 표적화 및 효능 향상을 위한 바이오재료와 나노기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유전적으로 조작된 피더셀, 범용 CAR 시스템, 나노입자 기반 약물전달체, 하이드로겔 등 다양한 첨단 재료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세가공 및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종양 미세환경 모사, 단일세포 어레이, 마이크로플루이딕 칩, 그리고 실시간 이미징 및 딥러닝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면역세포와 암세포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항암면역치료제의 효능 평가, 신약 스크리닝,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종양 미세환경 내에서 면역세포의 이동, 침투, 시냅스 형성, 세포독성 등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면역세포치료의 한계 극복과 치료 효능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 나노입자를 탑재한 T 세포를 이용한 복합치료, 엑소좀-마이크로버블 융합체를 통한 초음파 유도 약물전달 및 광역학 치료, NK 세포의 대량 증식 및 활성화 기술 등은 실제 논문, 특허, 과제 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며, 항암면역치료제의 효능 평가, 종양-면역 미세환경 모사, CAR-T/NK 세포 효능 분석 등 다각도의 융합연구를 통해 차세대 면역치료제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기초연구를 넘어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플랫폼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도준상 연구실은 앞으로도 재료공학, 나노기술, 면역학, 바이오공학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항암면역치료제 및 진단·평가 플랫폼을 개발하고, 국내외 바이오의료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것입니다.
면역세포 기반 항암치료를 위한 바이오재료 및 나노기술
도준상 연구실은 면역세포, 특히 자연살해(NK) 세포와 T 세포를 활용한 항암면역치료의 혁신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바이오재료와 나노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전적으로 조작된 세포주, 나노입자, 하이드로겔 등 첨단 재료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의 활성화, 증폭, 표적화 및 효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NK 세포의 대량 증식과 활성화를 위한 유전자 조작 피더셀, 다양한 항원에 대응 가능한 범용 CAR 시스템, 그리고 암세포 표적화 나노입자 개발 등은 연구실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암종에서 면역세포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 나노입자를 탑재한 T 세포를 이용한 면역-광열 복합치료, 엑소좀-마이크로버블 융합체를 통한 초음파 유도 약물전달 및 광역학 치료, 그리고 NK 세포의 활성화와 증폭을 위한 혁신적 배양 시스템 등이 실제 논문과 특허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면역세포의 종양 미세환경 내 역동성 분석, 면역시냅스 구조 연구, 3D 프린팅 기반 종양 모사체 개발 등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단순한 기초연구를 넘어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플랫폼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며, 항암면역치료제의 효능 평가, 종양-면역 미세환경 모사, CAR-T/NK 세포 효능 분석 등 다각도의 융합연구를 통해 차세대 면역치료제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세가공 및 이미징 기반 면역세포-암세포 상호작용 분석 플랫폼
연구실은 미세가공 기술과 첨단 이미징, 딥러닝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면역세포와 암세포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단일세포 어레이, 마이크로플루이딕 칩, 3D 프린팅 기반 종양 모사체 등은 실제 종양 미세환경을 정밀하게 재현하여 면역세포의 이동, 침투, 시냅스 형성, 세포독성 등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합니다.
특히, 딥러닝을 활용한 이미지 기반 세포 분류 및 상호작용 분석 시스템, 마이크로패터닝을 통한 면역시냅스 구조 연구, 3차원 종양-혈관 칩을 이용한 T 세포 및 NK 세포의 종양 침투 역학 분석 등은 연구실의 핵심 기술입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항암면역치료제의 효능 예측, 신약 스크리닝,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실은 다양한 생체재료와 나노입자를 이용한 세포 기능 조절, 표적 약물전달, 세포 보호 및 이식 효율 향상 등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면역세포치료의 기초 연구부터 실제 임상 적용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차세대 바이오의료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Development of exosome membrane materials-fused microbubbles for enhanced stability and efficient drug delivery of ultrasound contrast agent
Jang Yongho, Park Jeehun, Kim Pilsu, Park Eun-Joo, Sun Hyungjin, Baek Yujin, Jung Jaehun, Song Tai-kyong, Kim Hyuncheol, 도준상
ACTA PHARMACEUTICA SINICA B, 2023
2
Effect of lyophilized gelatin-norbornene cryogel size on calvarial bone regeneration
Kim Bomi, Lee Byunghak, Mandakhbayar Nandin, Lee Jung-Hwan, Jeong Bosu, Song Kwang Hoon, 도준상, Kim Younghyeon, 송연주
Materials Today Bio, 2023
3
Gold Nanoparticle-Carrying T Cells for the Combined Immuno-Photothermal Therapy
도준상, Kim HyeMi, Baek Yujin, Ha Taeyong, Choi Doowon, Lee Woo Jin, Cho Yongbum, Park Jeehun, Kim Sungjee
SMALL, 2023
1
차세대 생체재료 설계 및 표면개질을 통한 면역반응 제어 연구회
2
호흡계 감염질환과 지방간염 모델 구축을 위한 통합 메타조직칩 개발
3
3차원 종양 모사체 및 실시간 세포 영상 기술을 이용한 CAR-NK 세포 효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