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상현 연구실

계명대학교 류마티스내과

김상현 교수

김상현 연구실

류마티스내과 김상현

김상현 연구실은 류마티스내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전신홍반루푸스, 쇼그렌증후군, 베체트병 등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을 대상으로 기초 및 임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fibroblast-like synoviocytes의 기능 변화, 자가면역 반응의 분자적 기전, 다양한 치료제(DMARDs, 생물학적 제제, JAK 억제제 등)의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장기 추적 코호트 연구를 통한 예후 인자 분석 등 정밀의료 기반 연구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코호트 및 다기관 임상시험을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반응과 예후를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통풍 및 대사성 관절질환 분야에서는 요산강하제의 효능과 안전성,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약물 선택, 생활습관 개선과 질병 예후의 연관성, 약물 순응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정책적 접근 등 환자 중심의 다학제적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통풍 및 대사성 관절질환 환자의 전인적 관리와 예후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분야에서는 전신홍반루푸스, 베체트병, 쇼그렌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의 임상적 특성, 진단 바이오마커,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합병증 관리와 환자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정신건강, 수면의 질, 사회적 지원 등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연구하여 환자 중심의 통합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김상현 연구실은 류마티스 및 자가면역질환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표적 발굴,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등 정밀의료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연구와 임상 적용을 통해 국내외 류마티스 질환 치료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류마티스 질환의 병태생리 및 치료 연구
본 연구실은 류마티스 질환,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전신홍반루푸스 등 다양한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류마티스 질환은 면역계의 이상 반응으로 인해 관절 및 다양한 장기에 만성 염증이 발생하는 복합적인 질환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질환의 발병 기전,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 네트워크의 역할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fibroblast-like synoviocytes의 기능 변화, 자가면역 반응의 분자적 기전, 그리고 다양한 치료제(예: DMARDs, 생물학적 제제, JAK 억제제 등)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 추적 코호트 연구와 다기관 임상시험을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반응과 예후 인자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다양한 바이오마커 및 유전자 다형성 연구를 통해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치료 반응성 평가 등 정밀의료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통풍 및 대사성 관절질환의 임상 및 기초 연구
통풍은 요산 대사 이상으로 인해 관절에 요산 결정이 침착되어 급성 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대사성 관절질환입니다. 본 연구실은 통풍의 발병 기전, 위험인자, 유전적 소인, 그리고 만성화 과정에서의 신장 및 심혈관계 합병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통풍 환자의 임상적 특성, 치료 순응도, 약물 부작용, 장기 예후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요산강하제(예: 페북소스타트, 알로퓨리놀, URAT1 억제제 등)의 효능과 안전성,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약물 선택 및 관리 전략에 대한 임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 및 임상시험, 바이오마커 발굴, 생활습관 개선(식이, 운동 등)과 질병 예후의 연관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통풍 환자에서의 삶의 질, 동반 질환(고혈압, 당뇨, 만성 신질환 등)과의 상관관계, 약물 순응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정책적 접근 등 환자 중심의 다학제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통풍 및 대사성 관절질환 환자의 전인적 관리와 예후 개선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자가면역질환(루푸스, 베체트병 등)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전략
본 연구실은 전신홍반루푸스, 베체트병, 쇼그렌증후군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의 임상적 특성, 진단 바이오마커,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은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미치며, 질환의 활성도와 합병증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은 환자군의 임상 데이터와 생체시료를 활용하여 질환의 활성도 평가, 새로운 진단 지표 개발, 치료 반응성 예측 모델 구축 등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루푸스 신염, 베체트병의 신장 및 신경계 침범, 쇼그렌증후군의 외분비선 기능 저하 등 주요 합병증에 대한 다기관 연구와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면역억제제, 생물학적 제제, 신약 후보물질의 효과와 부작용, 감염 위험성 평가 등 환자 안전을 고려한 치료법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삶의 질, 정신건강, 수면의 질, 사회적 지원 등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연구하여 환자 중심의 통합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가면역질환의 조기 진단, 맞춤형 치료, 합병증 예방 및 예후 개선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Efficacy and safety of epaminurad, a potent hURAT1 inhibitor, in patients with gout: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se-finding study
김상현
ARTHRITIS RESEARCH & THERAPY, 202505
2
Impact of csDMARDs vs. b/tsDMARDs on the Prognosis of Rheumatoid Arthritis-Associated Interstitial Lung Disease: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김상현
Diagnostics, 202503
3
Risk factors for loss to follow-up in patients with gout: A Korean prospective cohort study
김상현
PLoS One, 202502
1
2015년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운영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2015년 02월 ~ 2017년 12월
2
2014년도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운영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2014년 02월 ~ 2014년 11월
3
지역약물감시센터 위탁운영 사업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2013년 02월 ~ 2013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