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탈중앙화 웹 및 자기주권 신원 기술
김근형 연구실은 탈중앙화 웹(Decentralized Web)과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 SSI)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웹3.0 시대의 도래와 함께, 중앙 집중형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Hyperledger Indy, OpenID Connect, eIDAS 2.0 등 다양한 신원 인증 및 분산 신원 관리 기술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디지털 신원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fier, DID) 기술, 디지털 지갑,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유통 플랫폼 설계 등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 디지털 증거의 유효성 보장 기술, 그리고 DIDComm 메시지의 암호화 및 서명 알고리즘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IoT 가상환경 플랫폼에서의 무결성 보장 시스템, 탈중앙 메타버스에서의 신원 확인 기술 등 차세대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신뢰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이러한 노력은 디지털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데이터 신뢰성, 개인정보 보호, 투명성 강화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근형 연구실은 분산 신원 기술의 표준화, 실용화, 그리고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2
스마트 미디어 및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김근형 연구실은 스마트 미디어 생태계와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디바이스와 플랫폼이 공존하는 현대의 미디어 환경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은 웹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구조, 크로스 플랫폼 인증 메커니즘, 그리고 HTML5 기반 서비스 이동성 등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IPTV, P2P 스트리밍, N-스크린 서비스,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서비스 세션 이동성, 콘텐츠 동기화, 그리고 QoE(Quality of Experience) 향상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성통신, 무선랜 환경, 해양 통신망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미디어 전송 및 최적화 방안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특허 출원과 산업체 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며,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미디어 서비스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스마트 미디어와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 서비스, 인터페이스 표준화, 그리고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산업의 발전과 사용자 경험 혁신에 앞장서고자 합니다.
3
인공지능 및 데이터 신뢰성 기술
김근형 연구실은 인공지능(AI) 기술과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딥러닝을 이용한 전기 도면의 전기소자 검출 및 분류, 인공지능 기반 가짜뉴스 탐지 시스템, 그리고 설명가능 인공지능(XAI) 기술 동향 분석 등 AI의 실질적 응용과 신뢰성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학습 데이터의 윤리 기준 준수 여부 검증, 검증 자료를 활용한 가짜뉴스 탐지 자동화, 그리고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의 설명 가능성 분석 등 데이터의 신뢰성과 AI의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과 결합한 데이터 유통 플랫폼, 디지털 서명 기술,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방법 등 데이터 경제 시대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사회에서의 정보 신뢰성, 투명성, 그리고 윤리적 AI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근형 연구실은 인공지능과 데이터 신뢰성 분야에서의 선도적 연구를 통해, 사회적 신뢰와 혁신을 동시에 추구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