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kimlab

부산대학교 나노과학기술대학 김종만 교수

김종만 교수 연구실은 나노에너지공학과를 기반으로 MEMS/NEMS(미세/나노 전자기계시스템) 기술과 기능성 나노소재, 신축성 전자소자, 에너지 하베스팅 등 첨단 융합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구조 설계, 시뮬레이션, 공정 개발, 소자 제작 및 특성 평가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마이크로/나노 구조체, 소자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은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기능성 나노소재의 합성과 이들의 집적 공정 기술을 통해 신축성, 투명성, 내구성, 고감도 등 다양한 특성을 갖는 차세대 전자소자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크랙 기반 스트레인 센서, 키리가미 패턴 신축성 회로, 투명 전극, 웨어러블 히터 등 다양한 응용 소자를 개발하여, 웨어러블 헬스케어, 소프트 로보틱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등 미래 산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압전 및 플렉소일렉트릭 나노발전기, 트라이보일렉트릭 발전기 등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의 미세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자가 구동형 웨어러블 센서, IoT, 바이오메디컬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무선·무전원 시스템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출원 및 등록, 산학협력, 기술이전,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등 활발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으며, 실제 산업적 활용과 상용화를 위한 실용화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부생,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 인력을 모집하여, 차세대 융합기술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종만 교수 연구실은 MEMS/NEMS, 기능성 나노소재, 신축성 전자소자, 에너지 하베스팅 등 첨단 융합기술의 연구와 실용화를 통해, 미래형 전자기기 및 시스템의 혁신을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