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in Design Lab
나노공학과 김용호
Protein Design Lab은 나노공학과에 속한 연구실로, 나노 및 생의학 응용을 위한 초분자 단백질 조립체 설계를 주요 연구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구실은 화학적으로 유도된 다기능성 펩타이드 빌딩 블록을 사용한 조절된 펩타이드 나노입자 조립, M2 양성자 채널을 포함한 바이러스 유사 나노좀 설계, PNA-siRNA 키메라 설계를 통한 안정성 및 효능 향상, 그리고 zolpidem의 표적 결합을 위한 de novo 단백질 설계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습니다. 또한, 그래핀 표면에서의 펩타이드 조립, 바이오센서 표면 화학, 그리고 서브-10-nm 리소그래픽 표면에서의 단일 분자 단백질 배열 등의 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나노기술과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R&D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Single-Molecule Protein Arrays
Biosensor Surface Chemistry
Graphene-Peptide Assembly
단백질 설계를 통한 나노 및 생체의학 응용
단백질 디자인 연구실은 나노 및 생체의학적 응용을 위한 초분자 단백질 조립에 대한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화학적 유도체와 다기능성 펩타이드 빌딩 블록을 이용한 조립체를 연구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나노입자와 바이러스 유사 구조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 원칙은 약물 전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siRNA의 엔도솜 탈출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폴리펩타이드의 안정성과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서 매개 비대칭성을 이용한 PNA-siRNA 키메라를 설계하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이 외에도, 특정 약물에 대한 표적 결합을 위한 de novo 단백질 설계 및 효율적인 표면 피복을 위한 재조합 접착 단백질의 프랙탈 성장 연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
Modulated peptide nanoparticle via supramolecular assembly using chemically induced multi-junctional peptide building blocks
Eun Sung Kang, Ha Yeon Bae, Nam Hyeong Kim, Dawon Park, Inhwan Cha, Zinah Hilal Khaleel, Eun Jung Choi, Young-Wook Jun, Chang Sik Song, Yong Ho Kim
Small,
2
A Virus-like Nanosome Embedded with M2 Proton Channel for Enhancing Endosomal Escape of siRNA
Si Yeon Ryu, Nam Hyeong Kim, Seongmin Ga, Kyeong Hyun Kim, Ji Young Nam, Bok Soo Lee, Eun Sung Kang, Minah Suh, Jaecheol Lee, Huong T. Kratochvil, William F. DeGrado, Yong Ho Kim
ACS Nano,
3
Designing PNA-siRNA Chimera for Improved Stability and Increased Efficacy via Dicer mediated asymmetry
Seongmin Ga, Ji Young Nam, Si Yeon Ryu, Eunkyung Lie, Soo Yeon Lee, Nam Hyeong Kim, Bok Soo Lee, Minah Suh, Yong Ho Kim
JA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