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내진 및 내풍 구조 설계와 성능 평가
내진 및 내풍 구조 설계는 지진과 강풍 등 자연재해로부터 건축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구조물에 대한 내진 및 내풍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구조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U형 강재-콘크리트 합성보, 철근콘크리트 벽체, 조적채움벽 등 다양한 구조 시스템의 실험적 및 해석적 내진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진동대 실험, 수치해석, 하이브리드 실험법 등 첨단 실험 및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지진 및 풍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또한, 면진시스템, 감쇠장치, 복합형 제어시스템 등 다양한 제진 및 내진 보강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여 내진·내풍 성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건축물의 내진 리모델링, 신축 건물의 내진 설계, 학교 및 공동주택 등 공공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다양한 특허와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적 활용성을 높이고,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활발히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 구조물 모니터링 및 인공지능 기반 안전 진단
스마트 구조물 모니터링은 센서, 통신,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건축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위험을 사전에 예측·관리하는 첨단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위성 계측 신호, 이종 센서, AI 예측 모델 등을 활용한 광역 건축물 지진 안전도 평가 시스템, 통합 스마트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플랫폼 등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건축물의 진동, 변형, 균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구조적 이상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고, 위험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해석 및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의 경험적·수동적 진단 방식보다 훨씬 정밀하고 효율적인 안전 관리가 가능합니다. 스마트 모니터링 기술은 노후 건축물의 유지관리, 대형 공공시설의 안전 진단, 지진 및 풍재해 대응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관련 특허와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산업적 확산에 앞장서고 있으며, 미래 지능형 건축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