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성욱 연구실

경희대학교 의학과

박성욱 교수

박성욱 연구실

의학과 박성욱

박성욱 연구실은 의학과를 기반으로 마취 및 수술 환자의 안전성 향상과 임상적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특히 마취 중 혈역학적 변화, 체위 변화, 약물 투여, 수액 관리 등 수술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와 그에 따른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임상시험, 후향적 코호트 연구, 사례 보고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근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척추 수술, 고관절 수술 등에서의 마취 관리, 노인 및 고위험군 환자의 수술 전후 위험 예측, 수술 중 저혈압 및 저체온증 예방, 수술 후 통증 및 오심·구토 관리 등 환자 안전과 예후 개선에 직결되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자의무기록 기반의 frailty risk score 개발, 노르에피네프린 및 다양한 마취약물의 임상적 효과 분석, 수액 및 체온 관리 전략 등 최신 임상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약물 부작용, 신경 차단술의 합병증, 마취 중 발생할 수 있는 드문 사례(예: 심정지, 부정맥, 혈전증 등)에 대한 사례 보고와 분석을 통해, 임상 현장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가이드라인 및 표준 진료지침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박성욱 연구실은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맞춤형 마취 관리,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위험 예측 모델 개발, 최신 임상기술 도입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마취 및 perioperative medicine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 안전과 삶의 질 향상, 의료진의 임상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마취 중 혈역학적 변화 및 안전성 연구
박성욱 연구실은 다양한 수술 환경에서 마취 중 발생할 수 있는 혈역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환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척추 수술이나 고관절 수술 등에서 환자의 체위 변화, 수액 투여, 약물 사용이 혈압, 심박수, 체온 등 주요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마취 유도 및 유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 부정맥, 저체온증 등 합병증의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 환자 맞춤형 마취 관리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마취 유도 후 수액 부하가 척추 수술 환자의 저혈압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노인 환자에서 척추마취와 프로포폴 진정 시 노르에피네프린의 지속적 주입이 저혈압 예방에 효과적임을 밝혔습니다. 또한, 마취 중 체위 변화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 약물(예: 페닐에프린, 덱스메데토미딘, 미다졸람 등)의 효과와 부작용, 수술 중 체온 유지 방법 등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의 환자 안전성 향상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마취과 임상의들에게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마취 관리와 수술 후 합병증 예방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박성욱 연구실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최신 임상 연구와 기술을 접목한 마취 관리법 개발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노인 및 고위험군 환자의 마취 및 수술 위험 예측
노인 및 만성질환 등 고위험군 환자에서의 마취 및 수술 위험 예측은 박성욱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연구실은 전자의무기록(EMR) 기반의 진단 및 수술 코드를 활용한 수술 전 허약(frailty) 위험 예측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여, 응급수술을 받는 고령 환자에서 90일 사망률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 평가가 가능해져, 환자 맞춤형 수술 및 마취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위험 예측 점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Hospital Frailty Risk Score, Operation Frailty Risk Score 등)를 비교 분석하여,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최적의 예측 도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 환자 및 중증 환자의 수술 전후 관리, 합병증 예방, 예후 개선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 개발, 다양한 임상 변수의 통합 분석을 통해, 고위험군 환자의 안전한 마취 및 수술 환경 조성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마취 및 perioperative medicine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합니다.
1
Hemodynamic changes in the prone position according to fluid loading after anaesthesia induction in patients undergoing lumbar spine surgery: a randomized, assessor-blind, prospective study
이상호, 김도윤, 한지훈, 김경미, 유안희, 강희용, 박성욱, 김미경, 김정은, 최정현
Annals of Medicine, 202412
2
Norepinephrine prevents hypotension in older patients under spinal anesthesia with intravenous propofol sed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im, H., Lee, S., Koh, W.U., Cho, J., 박성욱, 김건식, Ro, Y.-J., Kim, H.-J.
Scientific Reports, 202312
3
Application of the New Preoperative Frailty Risk Score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Emergency Surgery
이상욱, 김건식, 박성욱, 김재원, 최정현, 이상호, 정경운, 최인철
Gerontology, 202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