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안은종 교수
안은종 연구실은 토목공학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 향상을 목표로 첨단 비파괴 평가(NDT) 기술 및 스마트 건설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확산초음파, 표면탄성파, 공기결합 초음파 등 다양한 초음파 기반 비파괴 평가 기법을 개발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균열, 손상, 함수율, 강도 및 내구성 변화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파괴적 시험에 비해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장 적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드론(UAV), LiDAR, RGB-D 카메라 등 첨단 센서와 인공지능(AI) 영상처리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분석, 자동 균열 탐지 및 분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등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기존의 수작업 중심 점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물의 안전성과 유지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자기치유 콘크리트 및 첨단 복합소재 개발을 통해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확보와 유지관리 비용 절감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시멘트, 슈퍼흡수성 폴리머(SAP), 변형 황 결합재,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등 다양한 신소재를 적용하여, 균열이 발생해도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자기치유 콘크리트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교량, 터널, 댐 등 사회기반시설의 유지관리와 안전진단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등 다양한 기관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기술이전과 현장 적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안은종 연구실은 인공지능 기반 신호해석, 센서 융합, 자동화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태 평가 및 유지관리 기술로 발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인프라 유지관리, 재난 예방 등 미래 건설환경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