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FM LAB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한희 교수

Precision Forestry

Forest Big Data

Regional Circular Forestry

SFM LAB

농업생명과학대학 한희

SFM LAB(스마트 산림경영 연구실)은 첨단 기술과 데이터 기반 접근을 통해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산림의 생산성, 건강성, 그리고 생태적·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정밀 산림경영, 산림 빅데이터 분석, 가치사슬 최적화, 지역 순환형 산림경영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정밀 산림경영 분야에서는 드론, LiDAR, 원격탐사, 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산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이를 통해 산림의 바이오매스 추정, 탄소흡수량 평가, 산불 및 병해충 대응 등 다양한 산림 관리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산림 빅데이터와 가치사슬 분석 연구는 방대한 산림 관련 데이터를 통합·분석하여 산림의 동태와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산림 자원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목재 및 임산물의 고부가가치화, 바이오에너지 생산, 부산물 활용 등 산림 기반 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 및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지역 순환형 산림경영은 지역 내 산림 자원의 순환적 이용과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산림과 지역 경제의 동반 성장을 추구합니다. 산림 복원, 산불 피해지 관리, 지역 임업 활성화, 산림 기반 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FM LAB은 산림의 다원적 기능을 극대화하고,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다하는 산림경영 모델을 제시하며, 미래 산림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산림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한 혁신적 연구와 실천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ecision Forestry
Forest Big Data
Regional Circular Forestry
정밀 산림경영(Precision Forestry)
정밀 산림경영은 첨단 기술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산림 관리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 연구 분야에서는 원격탐사, LiDAR, 드론, 인공지능 등 다양한 최신 기술을 통합하여 산림의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산림 자원의 생산성과 건강성을 높이고, 산림 관리의 자동화 및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정밀 산림경영은 기존의 경험적이고 전통적인 산림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실시간 데이터와 과학적 분석을 통해 산림의 생태적,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드론을 활용한 고해상도 영상 촬영과 AI 기반 묘목 탐지 기술은 조림지의 생물다양성 모니터링과 산림 복원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LiDAR와 같은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은 산림 구조와 바이오매스 추정의 정확도를 높여 탄소 흡수량 평가와 산림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정밀 산림경영 연구는 산림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에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산불, 병해충, 기후변화 등 다양한 산림 재해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복원 전략 수립에도 활용되며, 미래 산림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림 빅데이터와 가치사슬 분석
산림 빅데이터 연구는 산림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산림의 동태를 이해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정책 개발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위성 및 항공 영상, 산림자원조사, 기상 데이터, 산림경영 이력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여 산림의 변화와 건강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림의 탄소 흡수량, 바이오매스, 생물다양성 등 다양한 지표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가치사슬 분석은 산림 자원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예를 들어, 국내 낙엽송 및 참나무 원목의 가공 부산물 활용, 목재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활용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산림 기반 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합니다. 또한, 산림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과 유통 시스템 개선을 통해 탄소 저장 기간을 연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림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순환경제 실현, 그리고 산림 산업의 혁신을 위한 정책적·기술적 기반을 마련합니다. 산림 빅데이터와 가치사슬 분석을 통해 산림의 다원적 기능을 극대화하고,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다하는 산림경영 모델을 제시합니다.
지역 순환형 산림경영과 지속가능성
지역 순환형 산림경영은 특정 지역 내에서 산림 자원의 생산, 가공, 소비, 재생산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산림 기반 경제의 자립성과 회복력을 높이고, 지역사회와 자연이 상생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제시합니다. 산림 부산물의 지역 내 활용, 지역 특화 임산물 생산,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력 강화 등이 주요 전략입니다. 이 연구 분야에서는 산림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생태적 가치도 함께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산림 복원과 산불 피해지 관리, 지역 임업 활성화, 산림 기반 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됩니다. 또한, 지역별 산림 탄소흡수 능력 평가와 맞춤형 산림경영 전략 수립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역 순환형 산림경영은 지역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환경 보전 등 다양한 사회적 효과를 창출합니다.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산림의 건강성과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 산림정책의 핵심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Environmental Benefits of Timber and By-product Utilization Strategies in South Korea’s Domestic Supply Chains
Ahn, EJ, DY Kim, SR Kim, YS Chang, H Han
FORMATH, 2025
2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wild edible mushrooms as a non-timber forest product in copperbelt province of Zambia
Sinyangwe, A, H Han, DY Kim, SJ Ju, GH Park, GY Won, JS Chung
Southern Forests: a Journal of Forest Science, 2025
3
Sample selection bias due to omitting short trees for tree height estimation in forest inventories: A case study on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in South Korea
Shin, JH, YS Chang, KY Lee, DY Kim, H Han
PLoS One, 2025
1
Development of Tree Seedling Detection and Biodiversity Monitoring Technology in Reforested Areas Using High-resolution Drone Imagery and AI Technology
Korea Forest Service
2024년 ~ 2025년
2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Restoration Frameworks for Forest Management and Disaster Control in Fire-Damaged Forests
Korea Forest Service
2023년 ~ 2025년
3
Develop Carbon Accounting Tools and Guidelines for Different Interventions Under the Billion Tree National Movement in Mongolia
World Bank
2024년 ~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