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 연구실
의과대학 김연수
김연수 연구실은 신장 질환의 병태생리, 임상적 특성, 그리고 신장이식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만성 신부전, 급성 신손상, 사구체신염, IgA 신병증, 신장이식 등 다양한 신장 질환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 유전체학, 면역학, 임상역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융합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질병의 원인과 진행 기전을 규명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장 섬유화, 면역반응, 염증반응, 대사 이상 등 신장 질환의 주요 병리적 변화에 대한 기초 연구와 더불어, 대규모 환자 코호트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임상 연구를 통해 신장 질환의 예후 인자와 치료 반응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생체표지자(biomarker) 발굴, 유전자 다형성 분석, 신장 조직 내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 네트워크 해석, 단일세포 오믹스 분석 등 첨단 연구기법을 도입하여 신장 질환의 미세환경과 분자적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신장이식 분야에서는 이식 신장의 장기 생존과 면역 거부반응의 기전, 그리고 이식 환자의 예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식 전후 환자 및 공여자의 유전적 특성, 면역반응, 장내 미생물 변화, 바이오마커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식 신장 거부반응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그리고 면역억제제의 최적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예후 예측 모델, 약물유전체학, 면역조절 치료제 개발 등 첨단 융합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면역조절 및 치료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신장 질환 및 신장이식 환자의 삶의 질, 사회경제적 요인, 합병증 관리, 건강 정책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한 다기관 코호트 연구와 정책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장 질환 환자와 신장이식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 그리고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연수 연구실은 신장 질환과 신장이식 분야에서 기초와 임상을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와 혁신적 치료법 개발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신장 질환의 병태생리 및 임상 연구
본 연구실은 신장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 급성 신손상, 사구체신염, IgA 신병증, 신장이식 등 다양한 신장 질환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 임상역학적, 유전학적 접근을 통해 질병의 원인과 진행 기전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특히, 신장 섬유화, 면역반응, 염증반응, 대사 이상 등 신장 질환의 주요 병리적 변화에 대한 기초 연구와 더불어, 환자 코호트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임상 연구를 병행하여 신장 질환의 예후 인자와 치료 반응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장 질환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 개선과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생체표지자(biomarker) 발굴, 유전자 다형성 분석, 신장 조직 내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 네트워크 해석, 신장 조직의 단일세포 오믹스 분석 등 첨단 연구기법을 도입하여 신장 질환의 미세환경과 분자적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장 질환 환자에서의 합병증(심혈관질환, 감염, 암 등) 발생 위험과 관련된 임상적, 생물학적 요인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신장 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새로운 치료 표적 발굴에 기여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와 관리 방안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장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신장이식 및 면역조절 연구
신장이식 분야에서 본 연구실은 이식 신장의 장기 생존과 면역 거부반응의 기전, 그리고 이식 환자의 예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식 전후 환자 및 공여자의 유전적 특성, 면역반응, 바이오마커, 장내 미생물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식 신장 거부반응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그리고 면역억제제의 최적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식 후 발생하는 급성 및 만성 거부반응, 항체매개 거부반응, 이식 신장 섬유화, 이식 후 감염 및 암 발생 등 이식 환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합병증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장이식 환자에서의 면역억제제 약동학 및 약력학, 약물유전체학, 인공지능 기반 예후 예측 모델 개발 등 첨단 융합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면역조절 및 치료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신장이식 환자의 삶의 질, 사회경제적 요인, 장기 생존율, 합병증 관리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한 다기관 코호트 연구와 정책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 그리고 이식 신장 장기 생존을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Surviving the cold: Assessing long-term outcomes among Korean CKD patients exposed to low perceived temperature during winter
임천수, Ko Ara, 이정표, 김세중, Byon Jae-Young, Weon Boram, Lee Jeonghwan, Lee Whanhee, 오윤규, 김동기, 김연수, Oh Sohee
ENVIRONMENTAL RESEARCH, 202411
2
Predicting early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a deep learning approach using a nationwide prospective cohort in South Korea
김연수, Noh Junhyug, Park Sun Young, Bae Wonho, Kim Kangil, Cho Jang-Hee, Lee Jong Soo, Kang Shin-Wook, Kim Yong-Lim, 임춘수, 이정표, Yoo Kyung Don
SCIENTIFIC REPORTS, 202411
3
Synergistic effect of periodontitis and C-reactive protein levels on mortality: NHANES 2001-2004
Han Miyeun, Lee Whanhee, 이정표, 김동기, Ahn Seoyeong, Kang Moon Ho, Hwang Hyeon Seok, Kwon Soie, Kim Yaerim, Lee Jeonghwan, 임춘수, 김연수
PLOS ONE, 202410
1
Uteroglobin exon 1의 5`UTR 유전자 다형성이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2
면역복합체 형성 억제 유전자 uteroglobin-adenovirus 이입세포의 목표장기 homing을 이용한 사구체신염의 예방과 치료
3
면역조절 T 림프구를 이용한 공여자 특이 면역관용 유도의 새로운 접근과 이의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