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신순식 연구실

동의대학교 한의예과/한의학과

신순식 교수

신순식 연구실

한의예과/한의학과 신순식

신순식 연구실은 한의학의 핵심 분야인 방제학을 중심으로, 전통 이론과 현대 과학을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군신좌사 원칙 등 방제학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한약 처방의 구성 원리와 약물 간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전통 한의학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한약재를 기반으로 한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동물실험과 세포실험을 통해 한약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와 대사 개선 기전을 규명하고, 기존 양약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 후보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DF, GGH, GGEx18 등 자체 개발한 한약 조성물은 다양한 논문과 특허를 통해 그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한약재의 표준화와 품질관리 역시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숙지황, 당귀, 복령 등 주요 한약재의 제조 및 가공법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첨단 분석기술을 활용한 성분 분석과 독성 평가를 통해 안전하고 일관된 한약재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의 신뢰성 제고와 산업적 활용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한약과 양약의 병용제 개발, 한약제제의 표준화 및 안전성 평가,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접근법이 현대 의학과 융합되어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순식 연구실은 방제학의 전통 이론과 현대적 응용, 한약재의 품질관리, 그리고 한약 기반의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한의학의 과학화와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의학의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입니다.

방제학의 이론과 실제
방제학은 한의학에서 처방의 원리와 약물의 조합, 그리고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신순식 연구실은 방제학의 기초 이론부터 임상 적용까지 폭넓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제학의 대표적인 이론인 군신좌사의 원칙을 바탕으로 각 처방의 구성과 약물 간의 상호작용, 효능 증진 및 부작용 저감화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한방 처방의 약물 배합 원리와 그 과학적 근거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 고찰과 실험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청룡탕, 계지복령환, 대황목단탕 등 전통 처방의 구성 약물과 그 배합 원리를 분석하고, 약리 활성 및 임상 효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합니다. 이를 통해 전통 이론의 현대적 해석과 표준화된 처방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제학의 현대적 응용을 위해 한약재의 품질관리, 표준화, 추출 및 가공 방법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의 과학화와 국제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임상에서의 안전성과 효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약 기반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
신순식 연구실은 한약재와 전통 방제학을 기반으로 비만 및 대사증후군,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등 현대인의 주요 건강 문제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모델과 세포실험을 통해 한약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 지방대사 조절, 인슐린 저항성 개선 등 약리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황, 대황, 자초 등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 및 이의 현대적 가공법을 개발하여, 기존 양약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DF, GGH, GGEx18 등 자체 개발한 한약 조성물의 효능을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통해 입증하였으며, 이들 조성물은 체중 감소, 내장지방 축소, 간 지방 축적 억제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한약과 양약의 병용제 개발, 한약제제의 표준화 및 안전성 평가, 그리고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접근법이 현대 의학과 융합되어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약재의 표준화 및 품질관리
한약재의 품질과 안전성은 한의학적 치료의 신뢰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신순식 연구실은 한약재의 표준화, 가공 및 추출 방법, 성분 분석, 품질관리 체계 구축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숙지황, 당귀, 복령 등 주요 한약재의 제조 및 가공법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유효성분의 함량 분석과 독성 평가를 통해 안전하고 일관된 한약재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등 첨단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한약재 및 한약 조성물의 주요 활성 성분을 정량 분석하고, 표준화된 제조공정을 개발합니다. 이를 통해 한약재의 품질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임상 및 산업 현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한약재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한약재의 국제 표준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약전 비교, 품질관리 기준 설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의학의 세계화와 산업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윤미정, 신순식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04
2
Fenofibrate Regulates Visceral Obesity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Obese Female Ovariectomized C57BL/6J Mice
신순식, 윤미정, 신유진, 이미정, 이동주, 장준성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04
3
The herbal extract ALS-L1023 from Melissa officinalis reduces weight gain, elevated glucose levels and β-cell loss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신순식, 안지원, 윤미정, 신유진, 이동주, 이미정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01
1
한약과 양약 병용제 QIR의 비만 억제 효과와 작용기전 및 안전성 규명 : Qsymia의 부작용을 극복한 새로운 비만치료제 발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 03월 ~ 2022년 07월
2
한약을 이용한 Naltrexone-bupropion의 부작용을 저감화한 새로운 비만치료제 발굴(3차년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2년 ~ 2022년 12월
3
한약을 이용한 Naltrexone-bupropion의 부작용을 저감화한 새로운 비만치료제 발굴(2차년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1년 04월 ~ 2021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