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Stretchable Device Laboratory

세종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구자훈 교수

Stretchable Device Laboratory는 신축성 전자 및 광전자 소자의 개발과 응용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기존의 경직된 실리콘 기반 전자소자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인체와 같은 동적 표면에 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축성 소자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의수족, 지능형 바이오메디컬 시스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피부 부착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기존에 불가능했던 다양한 혁신적 응용 분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진공 증착 신축성 유전체, 본질적 신축성 전자소자, 신축성 광트랜지스터 어레이, 웨어러블 심전도(ECG) 모니터 등입니다. 특히, 본질적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와 구조 설계를 통해, 반복적인 기계적 변형에도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을 유지하는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축성 전극, 신호 증폭기, 색상 조절이 가능한 OLED 등 다양한 소자를 통합하여, 실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및 시각화가 가능한 웨어러블 바이오메디컬 디바이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의 합성 및 기능화, 프린팅 기반의 신축성 소자 제조 기술도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나노와이어, 자가 치유 고분자 등 첨단 소재를 활용하여, 본질적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나노복합체를 합성하고, 다양한 프린팅 및 자가 조립 기술을 적용하여 대면적, 고성능 신축성 소자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 및 공정 기술은 신축성 소자의 상용화와 대량 생산에 필수적입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신축성 소자에 접목하여,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피로 누적 문제를 극복하고, 소자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다기능, 고효율의 신축성 시스템을 개발하여, 웨어러블 및 이식형 디바이스, 공중보건, 재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tretchable Device Laboratory는 소재 개발, 소자 설계, 시스템 통합, 응용 연구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차세대 신축성 전자 및 바이오메디컬 디바이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간 중심의 혁신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