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정수영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인공지능학과

정수영 교수

Neuropsychiatric Diseases

Circadian Rhythms

Dopaminergic Neurodegeneration

V3_minor

정수영 연구실

인공지능학과 정수영

이 연구실은 인공지능학과에 속해 있으며, 주로 일주기 리듬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인간 골육종 세포 배양에서 REV-ERBα 및 REV-ERBβ의 기능적 특성화, 코티솔 생합성 억제제의 새로운 클래스 식별 및 치료 전략에 대한 함의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이 연구실은 신경정신질환과 관련된 일주기 분자 시계 조절제 개발 및 도파민성 신경퇴행 연구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관련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고 있습니다.

Neuropsychiatric Diseases
Circadian Rhythms
Dopaminergic Neurodegeneration
서카디안 리듬 조절을 통한 신경정신질환 치료 전략 개발
최근 연구를 통해 서카디안 리듬이 신경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서카디안 시계 조절을 통해 도파민 및 기분 조절에 따른 신경정신질환 치료 전략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서카디안 핵 수용체 REV-ERBα와 REV-ERBβ의 기능적 특성을 연구하며, 암세포 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티솔 생합성 억제제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서카디안 리듬 조절과 연관된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정신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연구입니다.
1
Identification of a novel class of cortisol biosynthesis inhibitors and its implications in a therapeutic strategy for hypercortisolism
Life Sciences, 2023
2
Development of non-ethoxypropanoic acid type cryptochrome inhibitors with circadian molecular clock-enhancing activity by bioisosteric replacement
Pharmaceuticals, 2021
3
Real-Time Temporal Dynamics of Bicistronic Expression Mediated by Internal Ribosome Entry Site and 2A Cleaving Sequence
MOLECULES AND CELLS,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