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전흥배 연구실

광운대학교 화학과

전흥배 교수

전흥배 연구실

화학과 전흥배

전흥배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기능성 화합물과 고분자 소재의 개발에 주력하는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은 천연물 유도체, 생리활성 화합물,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화합물 등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합성 경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식품, 의약,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를 창출하고 있으며, 실제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고분자 합성 및 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지드-알카인 클릭 반응,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ATRP), RAFT 중합 등 첨단 중합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고분자 및 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코폴리머, 스파이로 고분자, 고리형 고분자 등을 합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분자들은 타이어용 초내마모 부타디엔 탄성소재, 실리카 충진 고무 복합소재, 고체 추진제용 고분자 바인더, 슈퍼플라스틱제 등 실용적 고분자 소재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촉매를 이용한 선택적 유기합성 및 친환경 합성기술 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무촉매 또는 친환경 촉매를 활용한 반응 시스템, 친환경 산화 및 환원 반응, 금속-그래핀 나노복합체의 무촉매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합성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화학공정의 단순화, 에너지 절감, 유해물질 저감 등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흥배 연구실은 다양한 국책과제와 산학연 협력을 통해 연구의 폭을 넓히고 있으며, 특허 출원과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에 연구 성과를 알리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구성원들은 유기합성, 고분자화학, 촉매화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흥배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을 중심으로 고분자 소재, 친환경 합성기술, 바이오 활성 화합물 개발 등 다양한 연구 분야를 아우르며, 미래 화학 및 융합과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기합성화학 및 신기능성 화합물 개발
전흥배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기능성 화합물의 설계와 합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연물 유도체, 생리활성 화합물,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화합물 등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효율적인 합성 경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합성 방법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반응 메커니즘을 도입함으로써, 화합물의 수득률과 선택성을 높이고,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합성법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효소적 및 화학적 합성을 통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화합물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식품, 의약,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린진 및 푸에라린과 같은 플라보노이드의 지질 가용성 개선 및 생체이용률 향상을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 그리고 다양한 아미노산 유도체 및 트리아졸 화합물의 합성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과 산업체 협력을 통해 실제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새로운 합성 전략을 바탕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 기능성 소재, 바이오 활성 화합물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를 통해 화학 및 바이오 융합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합성 및 기능성 고분자 소재 연구
본 연구실은 고분자 합성 및 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지드-알카인 클릭 반응,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ATRP), RAFT 중합 등 첨단 중합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고분자 및 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코폴리머, 스파이로 고분자, 고리형 고분자 등을 합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분자들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 내열성, 전기적 특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받아 산업적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타이어용 초내마모 부타디엔 탄성소재, 실리카 충진 고무 복합소재, 고체 추진제용 고분자 바인더, 슈퍼플라스틱제 등 실용적 고분자 소재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분자 말단기 조절, 분자량 분포 제어, 기능성 그룹 도입 등 고분자 구조의 정밀 제어를 통해 소재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고분자 기반의 바이오소재, 에너지 소재, 전자재료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과 대형 국책과제 수행을 통해 고분자 과학의 최신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고분자 합성 및 소재 연구는 화학, 재료, 에너지,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어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촉매 및 친환경 합성기술 개발
전흥배 연구실은 촉매를 이용한 선택적 유기합성 및 친환경 합성기술 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기존의 유기합성 반응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촉매 또는 친환경 촉매를 활용한 반응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아지드-알카인 클릭 반응, 촉매 없는 고분자 경화 시스템, 친환경 산화 및 환원 반응 등이 있습니다. 특히, 고체 추진제용 고분자 바인더의 접착 증진제 합성, 친환경 고분자 복합소재 개발, 금속-그래핀 나노복합체의 무촉매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합성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화학공정의 단순화, 에너지 절감, 유해물질 저감 등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촉매 시스템을 활용한 선택적 산화, 환원, 고리화, 글리코실화 등 유기합성 반응의 효율성 및 선택성 향상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친환경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미래형 화학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1
Novel enzymatic synthesis of 3-Hydroxybutyryl Naringin and its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bioactive characterization
박철환, Kyeonga Kim, Kang Hyun Lee, Eunjeong Yang, 이기원, 이택, Minji Kim, 전흥배, Eui-Hong Byun, Jeong Moo Han, Hah Young Yoo
Food Chemistry, 2025
2
Eco-friendly chemically crosslinked solid composite propellants via catalyst-free azide-alkyne cycloaddition
Min Byoung Sun, Kim Sung June, Shim Hong Min, Jeon Heung Bae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2024
3
Partially sulfonated polystyrenes: A new gypsum superplasticizer
Kim Hanyoung, Mohanty Aruna Kumar, Lee Seoyoung, Kwon Minho, Chang Taihyun, Jeon Heung Bae, Paik Hyun-jo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4
1
타이어용 초내마모 부타디엔 탄성소재 개발(2단계 3/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4년 ~ 2024년 12월
2
타이어용 초내마모 부타디엔 탄성소재 개발(2단계 2차년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3년 ~ 2023년 12월
3
타이어용 초내마모 부타디엔 탄성소재 개발(2단계 1차년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2년 ~ 2022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