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진 연구실
의과대학 신상진
신상진 연구실은 정형외과학, 특히 견관절 및 회전근개 질환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조직재생 및 생체재료 개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적 경험과 첨단 연구기법을 바탕으로, 어깨 질환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임상 연구에서는 회전근개 파열, 견관절 불안정성, 석회성 건염, SLAP 병변 등 다양한 어깨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관절경적 수술, 상부관절막 재건술, 이두건 보강술 등 최신 수술 기법의 임상적·생역학적 효과를 비교하고, 수술 후 재파열 및 기능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통증 관리, 재활 과정에서의 근력 회복, 환자 만족도 향상 등 환자 중심의 치료 전략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초 및 융합 연구 분야에서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직재생, 생체모사 지지체 및 생분해성 임플란트 등 첨단 바이오소재의 개발과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TMSC)를 활용한 힘줄 및 뼈 조직 재생, 성장인자 및 기계적 자극에 따른 세포 반응, 힘줄-뼈 인터페이스 재생 복합체 개발 등은 난치성 힘줄 손상과 재발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논문 발표, 특허 등록, 산학연 협력 과제 수행을 통해 연구 성과를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임상시험과 다기관 연구를 통해 신의료기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법의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신상진 연구실은 임상과 기초, 융합 연구를 아우르며 정형외과 분야의 혁신적인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통해, 정형외과 환자들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Shoulder Arthroscopy
Mesenchymal Stem Cells
Glenoid Fracture
견관절 및 회전근개 질환의 진단과 치료
신상진 연구실은 견관절 및 회전근개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회전근개 파열, 견관절 불안정성, 석회성 건염 등 다양한 어깨 질환의 임상적 특성과 병태생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진단법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영상의학적 기법과 임상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질환의 중증도와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에서는 관절경적 봉합술, 상부관절막 재건술, 이두건 보강술, 부분 봉합술 등 다양한 술식의 임상적·생역학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이나 해부학적 봉합이 어려운 경우에 대한 새로운 수술 기법과 보강 재료의 적용, 그리고 수술 후 재파열 및 기능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통증 관리, 재활 과정에서의 근력 회복, 재파열 예방을 위한 전략 등 환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각도의 연구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진단법과 치료법을 개발하여, 어깨 질환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형외과적 생체재료 및 조직재생 연구
본 연구실은 정형외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생체재료와 조직재생 기술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재생 촉진형 생체모사 지지체, 생분해성 임플란트 시스템, 힘줄-뼈 인터페이스 재생 복합체 등 첨단 바이오소재의 개발과 그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 모델과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직 재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세포와의 상호작용, 생체 내 안정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직재생 연구도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TMSC)를 활용한 힘줄 및 뼈 조직 재생, 건세포로의 분화 유도, 성장인자 및 기계적 자극에 따른 세포 반응 등 기초 및 응용 연구가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난치성 힘줄 손상,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재발성 관절와순 파열 등 기존 치료법으로 한계가 있는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산학연 협력을 통해 개발된 생체재료와 조직재생 기술의 상용화 및 임상 적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형외과적 난치 질환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고, 환자 맞춤형 재생의학의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All-suture anchor deployment configurations i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A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신상진, 이재후
Orthopaedic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25
2
The prevalence of tear patterns and their effects on tendon healing after arthroscopic surgery in patients with full-thickness
rotator ciff tears
신상진, 이상현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25
3
Effect of Medial or Lateral Graft Failure on Graft Volume and Clinical Outcomes After Superior Capsule Reconstruction for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s
Shin Sang-Jin, Lee Sanghyeon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24
1
연조직 재건용 생분해성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발
2
광범위 힘줄 손상 치유 향상을 위한 재생 촉진형 생체모사 지지체 개발 및 난치성 힘줄-뼈 질환 인터페이스 재생을 위한 복합체의 개발
3
한국 최초 개발 역행성 인공견관절의 전향적 다기관 무작위 대조 연구를 통한 임상적/방사선학적 유효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