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동운 연구실

원광대학교 치의학과

이동운 교수

이동운 연구실

치의학과 이동운

이동운 연구실은 치의학과 내에서 치주과학 및 임플란트 관련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치주조직의 손상 및 결손에 대한 재생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임플란트 주위의 골 결손 및 연조직 결손을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생체재료와 조직공학적 접근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의 구강 건강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골이식재, 차단막, 콜라겐 멤브레인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골재생 유도술(GBR)과 치조제 분할술, 수직적 골증대술 등 임상적 술식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병행하며, 조직학적 분석과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레이저 가공 표면이나 신소재를 적용한 임플란트 표면의 세포 부착 및 조직 반응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식립과 장기적 생존율을 위해 임플란트 재료의 선택과 표면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도 중점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티타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지르코니아 등 다양한 임플란트 재료의 생체적합성과 조직 반응을 비교 분석하고, 표면의 거칠기, 미세구조, 레이저 가공 등 표면처리 방식이 세포 부착, 증식, 그리고 연조직 및 경조직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이동운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대회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최신 임상지견과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회 및 기관으로부터 우수 논문상, 신인학술상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어 연구의 우수성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세포치료, 성장인자 활용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을 접목하여 치주 및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재생 능력을 극대화하는 연구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임플란트 시술의 예측성 향상에 기여하고, 치의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것입니다.

치주과학 및 임플란트 주위 조직 재생
치주과학은 치아를 둘러싼 조직, 즉 치주조직의 건강과 질병, 그리고 그 치료와 재생에 관한 학문입니다. 이동운 연구실은 치주조직의 손상 및 결손에 대한 재생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임플란트 주위의 골 결손 및 연조직 결손을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생체재료와 조직공학적 접근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골이식재, 차단막, 콜라겐 멤브레인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골재생 유도술(GBR)과 치조제 분할술, 수직적 골증대술 등 임상적 술식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를 병행하며, 조직학적 분석과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합니다. 최근에는 레이저 가공 표면이나 신소재를 적용한 임플란트 표면의 세포 부착 및 조직 반응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의 구강 건강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향후에는 세포치료, 성장인자 활용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을 접목하여 치주 및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재생 능력을 극대화하는 연구로 확장될 전망입니다.
임플란트 재료 및 표면처리 기술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식립과 장기적 생존율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재료의 선택과 표면처리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동운 연구실은 티타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지르코니아 등 다양한 임플란트 재료의 생체적합성과 조직 반응을 비교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표면의 거칠기, 미세구조, 레이저 가공 등 표면처리 방식이 세포 부착, 증식, 그리고 연조직 및 경조직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실험실 연구에서는 다양한 표면처리 기법이 세포의 부착력, 단백질 발현, 세포외기질 형성 등에 미치는 효과를 세포배양, 분자생물학적 분석,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 등을 통해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또한, 임상적으로는 표면처리된 임플란트의 식립 후 골융합 및 연조직 반응, 그리고 장기적 생존율을 추적 조사하여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 가능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 확보와 감염 예방, 그리고 미적·기능적 결과 향상에 기여합니다. 앞으로는 나노기술, 바이오코팅, 성장인자 도입 등 첨단 표면처리 기술을 접목하여 임플란트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연구가 기대됩니다.
1
Simultaneous Block Bone Grafting Using "L-Shaped Notch" Preparation in Mandible: Case Series and 1-Year Follow-up
Lee Dong-Woon, Lee Jin-Wook, Lim Hyun-Chang, Kang Kyung Lhi, Choi Seong-Ho, Yu Jeoung-A
IMPLANT DENTISTRY, 2015
2
The Role of Two Different Collagen Membranes for Dehiscence Defect Around Implants in Humans
Lee Dong-Woon, Kim Kyeong-Taek, Joo Yon-Soo, Yoo Mi-Kyung, Yu Jeoung-A, Ryu Jae-Jun
JOURNAL OF ORAL IMPLANTOLOGY, 2015
3
Comparative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Extraction Sockets Healing Implanted with Bovine Xenografts, Irradiated Cancellous Allografts, and Solvent-Dehydrated Allografts in Humans
Lee, DW, Pi, SH, Lee, SK, Kim, EC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S,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