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선영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김선영 교수

Shift Work

Depressive Symptoms

Gut Microbiota

김선영 연구실

의과대학 김선영

김선영 연구실은 수면장애, 장내미생물, 신체활동, 영양, 직무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의과학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불면증,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사고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병 및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기전을 다각도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면장애와 정신질환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불면증이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사고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위험요인임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다중오믹스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면장애 환자와 건강 대조군 간의 뇌 활성, 신경회로, 생리적 지표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내미생물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장내미생물의 다양성과 특정 미생물 종의 분포가 우울증, 불안증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분석하며, 샷건 메타지놈 분석, 16S rRNA 시퀀싱 등 첨단 유전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정신질환의 새로운 병태생리적 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더불어, 다중오믹스 기반의 항우울제 치료반응 예측 모델 개발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체활동, 수면, 영양, 직무스트레스 등 다양한 생활습관 및 환경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의 조기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실질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현장과 공공보건 정책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선영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협력 연구와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정신건강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신질환의 예방, 조기진단, 맞춤형 치료법 개발 등 국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에 앞장설 것입니다.

Shift Work
Depressive Symptoms
Gut Microbiota
수면장애와 정신건강의 상호작용 연구
김선영 연구실은 수면장애, 특히 불면증과 같은 수면 문제와 정신건강 간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수면장애가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사고 등 정신질환의 발병 및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수면의 질과 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기전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다중오믹스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수면장애 환자와 건강 대조군 간의 뇌 활성, 신경회로, 생리적 지표의 차이를 비교합니다. 특히 교대근무자, 만성 불면증 환자, 암 환자 등 다양한 집단에서 수면장애가 정서적 반응, 인지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면장애와 관련된 신경생물학적 지표(예: 전전두엽 활성, 아밀로이드 베타파워 등)와 임상 증상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수면장애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수면장애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 정신질환의 예방과 치료,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김선영 연구실은 수면장애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과 정책 제안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장내미생물과 정신질환의 연관성 및 다중오믹스 기반 치료반응 예측
김선영 연구실은 장내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과 정신질환, 특히 우울증 및 불안장애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장내미생물의 다양성과 특정 미생물 종의 분포가 우울증, 불안증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분석하며, 장-뇌 축(gut-brain axis)의 역할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샷건 메타지놈 분석, 16S rRNA 시퀀싱 등 첨단 유전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우울증 환자에서 단쇄지방산(SCFA) 생성 미생물의 감소와 같은 미생물군의 기능적 변화도 밝혀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장내미생물뿐만 아니라 대사체, 유전정보 등 다중오믹스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항우울제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별 맞춤형 정신질환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생체지표 기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내미생물의 변화가 염증반응, 신경전달물질 대사, 비타민 D 등 다양한 생리적 경로를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다각도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신질환의 새로운 병태생리적 기전을 밝히고, 장내미생물 조절을 통한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김선영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협력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 분야에서 다중오믹스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정신질환의 위험요인 및 예방전략: 신체활동, 영양, 직무스트레스 등 다요인적 접근
김선영 연구실은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사고 등 주요 정신질환의 위험요인과 예방전략을 다요인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 수면시간, 비타민 D 수치, 직무스트레스, 교대근무 등 다양한 생활습관 및 환경요인이 정신질환의 발병과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신체활동과 수면의 양·질이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에 미치는 최적의 수준을 규명하고, 성별·연령별 차이도 세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사고, 우울증 간의 연관성, 그리고 성별·연령별로 상이한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맞춤형 예방 및 중재전략을 제시합니다. 또한, 비타민 D 결핍, 만성질환(예: 관절염), 암 진단 등 신체 건강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검증하며,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통합적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신질환의 조기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실질적 근거를 제공하며, 임상현장과 공공보건 정책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김선영 연구실은 국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다학제적 연구와 사회적 실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Physical activity, weekend catch-up sleep, and depressive symptoms: mediating effects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Kim Sun-Young, Kim Soo In, Lim Weon-Jeong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509
2
Reduced prefrontal activation during cognitive control under emotional interference in chronic insomnia disorder
Kim Sun-Young, Lee Kyung Hwa, Jeon Jeong Eun, Lee Ha Young, You Jin Hyeok, Shin Jiyoon, Seo Min Cheol, Seo Won Woo, Lee Yu Jin
JOURNAL OF SLEEP RESEARCH, 202506
3
A shotgun metagenomic study identified short-chain fatty acid-producing species and their functions in the gut microbiome of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s: Large-scale shotgun sequencing data of the gut microbiota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Kim Sun-Young, Woo So-Youn, Kim Hyung-Lae, Chang Yoosoo, Ryu Seungho, Kim Han-N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505
1
다중오믹스 기반의 항우울제 치료반응 예측에 대한 모델구축: 장내미생물 및 대사체 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연구재단
2024년 09월 ~ 2025년 08월
2
샷건-전체염기서열분석에 의한 우울장애와 연관된 장 메타지놈: 염증 활성의 매개효과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4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