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정보보호 연구실

School of Cybersecurity

이 교수 교수

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차세대 모빌리티 및 IoT 보안 솔루션 (미래차, 자율주행, 무인이동체, V2N, ECU, PHY-level 부채널)
  • 자율주행차 및 커넥티드카의 사이버 공격 방어 및 안전성 확보 기술 제공.
  • PHY-level 부채널 분석을 통한 하드웨어 기반의 강력한 기기 인증 솔루션 개발.
  • 무인이동체(드론 등)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통신 및 제어 시스템 보안 기술 상용화 추진.

차량 및 IoT 보안 시장은 급성장 중이며, 본 연구실의 기술은 관련 산업의 안전 표준 확립 및 신규 서비스 창출에 기여할 것입니다.

2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블록체인, 함수서명, 국방암호, 클라우드/빅데이터 암호)
  •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 해결 및 신뢰성 높은 시스템 구축 지원.
  • 함수 암호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안전한 데이터 공유 및 접근 제어 솔루션 개발.
  • 국방 및 공공 분야의 민감 데이터 보호를 위한 고도화된 암호 기술 적용.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따라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의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전문인력 양성 (스마트그리드 보안, 이상징후 탐지, BK21, 국방암호센터)
  • 스마트그리드 등 국가 핵심 인프라의 사이버 위협 방어 및 안정적 운영 지원.
  • AI 기반 이상징후 탐지 시스템을 통한 선제적 보안 위협 대응 능력 강화.
  • BK21, 국방암호특화연구센터 등을 통해 산업계 수요 맞춤형 정보보호 전문 인력 배출.

사이버 보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전문 인력 양성은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산업 발전에 필수적입니다. 산학 협력을 통해 기술 상용화를 촉진합니다.

완료된 프로젝트

78

61

M-Commerce 표준화 방향 연구

2004년 05월 - 2004년 09월

62

시스템 보안 프로토콜 안전성 분석 연구

2004년 04월 - 2004년 11월

63

증명 가능한 인증된 키 교환 방식에 관한 연구

2003년 12월 - 2004년 11월

64

증명 가능한 공개키 기반의 불법 공모자 추적시스템

2003년 09월 - 2004년 08월

65

사용자 소프트웨어의 안전한 배포를 위한 Code Signing 기술 연구

2003년 07월 - 2003년 12월

66

IMT-2000 and Beyond 정보보호 표준화 연구

2003년 05월 - 2003년 11월

67

브로트캐스트/멀티캐스트 보안 기술 연구

2003년 05월 - 2003년 11월

68

패스워드 기반의 통합 시스템 설계

2002년 12월 - 2003년 11월

69

컴퓨터 해킹.바이러스 피해액 산출방법 연구

2002년 06월 - 2002년 11월

70

3세대 이동통신 보안체계 시뮬레이터 개발

2002년 05월 - 2002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