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성 연구실
의학과 김용성
김용성 연구실은 소화기내과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소화기 기능성 질환과 운동 장애, 장내 미생물, 그리고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과민성 장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증, 변비, 위식도역류질환 등 다양한 기능성 소화기 질환의 원인 규명과 임상적 특성 분석을 위해 임상 연구와 동물 실험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운동의 신경 및 근육 조절 기전, 장내 미생물과의 상호작용, 스트레스 및 성별 차이가 소화기 기능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최신 유전체 분석, 동물 모델, 임상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신약, 전기자극 등 새로운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 염증성 장질환, 대장암, 장내 미생물 다양성 등 소화기 질환 전반에 걸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의 변화가 질병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법 개발은 본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와 우수 논문, 특허 출원 등 활발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소화기내과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화기 질환의 유병률 및 임상 양상 연구, 신경 및 근육의 노화에 따른 장운동 변화, 스트레스와 소화기 질환의 상관관계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삶의 질 향상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용성 연구실은 소화기내과의 다양한 난제 해결과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기초와 임상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소화기내과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환자 중심의 의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소화기 기능성 질환 및 운동 장애 연구
본 연구실은 소화기 기능성 질환과 운동 장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과민성 장증후군(IBS), 기능성 소화불량증, 변비, 위식도역류질환(GERD) 등 다양한 기능성 소화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임상 연구와 동물 모델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운동의 조절 기전, 신경 및 근육의 상호작용, 그리고 장내 미생물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약물 및 치료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척수손상 모델을 이용한 장운동 장애 연구,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약의 효과 검증, 전기자극을 통한 배변 유도 등 혁신적인 실험 방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별, 연령,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소화기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소화기 기능성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능성 소화기 질환의 원인 규명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장내 미생물과 소화기 질환의 상관관계 연구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과 소화기 질환의 상관관계는 최근 소화기내과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실은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조성이 소화기 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IBD), 대장암, 기능성 소화기 질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신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건강인과 환자군의 장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고, 특정 미생물의 변화가 질병 발생 및 진행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식이요법, 항생제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분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가 위장관 미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장내 미생물 변화가 대장암 및 선종 발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프로바이오틱스가 스트레스성 장염 및 미세염증에 미치는 효과 등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내 미생물 기반의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질병 예방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장내 미생물과 소화기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방의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1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after endoscopic submucosal resection or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김용성, 11492698, 10168505, 10105818, 10249208, 10085870, 10400312, 10971655, 11653486, 10113021
Sci Rep, 202004
2
Differential expression of tumor-associated genes and altered gut microbiome with decreased Akkermansia muciniphila confer a tumor-preventive microenvironment in intestinal epithelial Pten-deficient mice
김용성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Molecular Basis of Disease, 201810
3
It is time to integrate sex as a variable in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김용성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20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