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이기근 연구실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이기근 교수

이기근 연구실은 전자공학과를 기반으로 표면탄성파(SAW) 기술과 나노소재, 집적 전자소자 기술을 융합한 첨단 센서 및 측정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압력, 온도, 습도, 가스, 자외선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인자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무선 및 무전원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센서 시스템을 통해 산업 현장, 전력설비, 지하매설물 등 접근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실은 ZnO, Ta2O5, In2O3, SnO2, 탄소나노튜브 등 다양한 나노구조 소재를 활용한 초고감도·초고속 응답 센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표면탄성파 센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기반 듀얼 채널 센서, 마이크로히터 집적형 센서 등 다양한 소자 구조를 개발하여, NO2, CO, CO2, 수소, 아세틸렌, 에탄 등 유해가스 및 환경 인자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센서 어레이와 휴대형 인터페이스 회로를 결합한 실시간 다채널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도 개발 중입니다. 이기근 연구실의 연구는 전력설비의 안전 진단, 반도체 플라즈마 챔버 내 웨이퍼 온도 모니터링, 코로나 방전 감지, 산업 현장의 유해가스 모니터링, 환경오염 감시 등 다양한 산업 및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 합성, 소자 설계, 집적회로, 신호처리, 시스템 통합 등 전주기적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센서의 소형화, 저전력화, 고신뢰성 확보를 위한 첨단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및 산업체와의 다양한 공동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센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특허 출원과 논문 발표, 학술대회 참가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통해 국내외 센서 및 전자소자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스마트팩토리, IoT, 에너지 하베스팅, 바이오센서 등 차세대 융합 산업 분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미래 사회의 안전, 환경, 건강을 위한 혁신적 센서 및 측정 시스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실로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