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MFMT Lab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김병식 교수

MFMT 연구실은 식품생명공학과를 기반으로 미생물과 숙주, 식품, 그리고 기타 미생물(특히 박테리오파지) 간의 상호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병원성 세균의 공격 메커니즘(단백질 독소, 병원성 인자)과 방어 메커니즘(박테리오파지 저항성 등)을 규명하여, 식품 유래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유익 미생물을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 전략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Vibrio vulnificus 등 해양성 병원균이 분비하는 MARTX 독소의 구조와 기능, 발현 조절, 숙주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MARTX 독소의 다양한 effector 도메인 및 그 조절 네트워크를 규명함으로써, 세균의 감염력 조절 및 새로운 항병원성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균의 바이오필름 형성, 신호전달(쿼럼센싱), 대사 조절 등 병원성 발현의 다양한 분자적 기전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박테리오파지 및 엔도라이신을 활용한 식품 유해세균 제어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신규 박테리오파지의 분리 및 특성 분석, 엔도라이신의 단백질 공학적 개량, 장기 저장 및 식품 적용을 위한 안정화 기술 개발 등 실용적 연구를 통해 식품 안전 및 공중보건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박테리오파지와 엔도라이신을 조합한 바이오필름 제거, 식품 가공 환경 위생 관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강 마이크로바이옴과 미각(특히 쓴맛) 인지의 상호작용에 대한 융합 연구를 통해, 미생물 군집과 미각 수용체의 상관관계, 구강 건강 및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임상 샘플 분석, 유전체 및 메타게놈 분석, 미각 테스트 등 다양한 융합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맞춤형 식품 개발 및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MFMT 연구실은 분자미생물학, 미생물유전체학, 세포생물학, 생화학 등 다양한 첨단 연구기법을 융합하여, 식품 안전, 공중보건, 바이오의약, 맞춤형 영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미생물의 분자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응용기술 개발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