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o & Porous Materials Lab.
숙명여자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화공생명공학부
최경민 교수
금속-유기 골격체 (MOFs)
이산화탄소 전환
다공성 나노재료
고순도 가스 분리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
화공생명공학부 최경민
저희 다공성 나노재료 연구실은 나노 및 다공성 소재의 혁신적인 설계와 응용을 통해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특히 금속-유기 골격체(MOFs), 금속-유기 단위입자(MOPs), 다공성 고분자 등의 나노구조체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과 환경 개선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첨단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물성을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인 산업 응용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경민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 전환, 수소 생산 및 저장, 고순도 가스 분리, 고효율 촉매 개발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루고자 합니다. 특히, 저희 연구실은 다공성 소재의 표면과 기공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최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배터리, 광촉매 시스템, 동위원소 분리 기술 등의 다양한 응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환경 기술의 핵심을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맞닿아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학제 간 융합과 협력을 통해 미래 에너지와 환경 기술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며, 차세대 연구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에 열정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해나가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저희 연구실은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통해 전 세계적인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