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영 연구실
공간정보공학과 이지영
이지영 연구실은 공간정보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실로, 실내외 공간정보의 통합, 3차원 공간정보 모델링, 데이터 표준화 및 융합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OGC IndoorGML, CityGML, IFC 등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실내외 공간의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객체지향 데이터 구조, 그리고 세밀도(LOD) 모델을 개발하여 복잡한 도시 및 건축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구축과 활용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옴니디렉셔널 이미지, MMS 포인트 클라우드, 드론 영상 등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자동화된 3D 공간정보 구축, 실내외 네트워크 데이터 연계, 실내외 내비게이션, 실내 공간의 시맨틱 정보 추출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재난 대응, 시설물 관리, 도시계획, 위치기반 서비스(LBS)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내외 공간정보의 표준화와 데이터 모델의 확장, 그리고 실내외 공간의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공간정보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표준화 활동과 실증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실내외 공간을 아우르는 통합적 공간정보 서비스와 응용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내외 공간정보의 데이터 융합 및 표준화 연구를 통해 이기종 데이터 간의 호환성과 통합성을 높이고, 실내외 공간의 연속적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데이터의 정확성, 최신성,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 융합 전략과 3차원 공간정보의 실용적 응용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지영 연구실은 공간정보공학 분야에서의 오랜 경험과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도시와 사회의 공간정보 기반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실내외 공간정보의 통합과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의 발전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시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D GIS
3D GIS
Virtual Seoul
실내외 공간정보 통합 및 IndoorGML 표준화 연구
이지영 연구실은 실내외 공간정보의 통합과 IndoorGML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내 공간은 기존의 실외 공간과는 달리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기능적 요구를 가지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에서는 OGC(국제공간정보표준화기구) IndoorGML 표준화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실내 공간의 네트워크 위상 표현, 공간 객체 간의 관계 정의, 그리고 실내외 공간의 연계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실내외 내비게이션을 위한 연결공간 기반 네트워크 데이터 연계 시스템, 실내 전방위 영상을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 방법 등 다양한 특허와 연구를 통해 실내외 공간의 연속적 이동성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재난 대응,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LBS)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내외 공간정보의 표준화와 데이터 모델의 확장, 그리고 실내외 공간의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공간정보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내외 공간을 아우르는 통합적 공간정보 서비스와 응용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표준화 활동과 실증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3차원 공간정보 모델링 및 데이터 융합 기술
이지영 연구실은 3차원 공간정보 모델링과 다양한 데이터 융합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대 도시와 건축 환경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이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에서는 CityGML, IFC, BIM 등 다양한 국제 표준과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실내외 공간의 3D 모델링, 객체지향 데이터 구조, 그리고 세밀도(LOD)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옴니디렉셔널 이미지, MMS 포인트 클라우드, 드론 영상 등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동화된 3D 공간정보 구축 및 객체 추출, 네트워크 데이터 자동 생성, 실내외 공간의 시맨틱 정보 추출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융합 및 표준화 연구를 통해 이기종 데이터 간의 호환성과 통합성을 높이고, 실내외 공간의 연속적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트윈, 스마트시티, 재난 대응, 시설물 관리,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데이터의 정확성, 최신성,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 융합 전략과 3차원 공간정보의 실용적 응용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1
Inter-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views of COVID-19 control measures across multi-cultural contexts
Huang Jianwei, Kwan Mei-Po, Kan Zihan, Kieu Minh, 이지영, Schwanen Tim, Yamada Ikuho
SOCIAL SCIENCE & MEDICINE, 202410
2
A Framework for Generating IndoorGML Data from Omnidirectional Images
이정원, 김미선, 이지영
Recent Advances in 3D Geoinformation Science, 202402
3
Developing a Method to Automatically Extract Road Boundary and Linear Road Markings from a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 Using Oriented Bounding Box Collision-Detection Techniques
이지영, 최현상, 알렉시스 리차드 클라리다데스
REMOTE SENSING, 202310
1
고정밀 공간정보 기술개발과 품질 향상 방안 연구
2
2024년 ISO 19109 응용스키마 규칙 국제표준 개정(안) 작성 3단계 용역
3
2023년 ISO 19109 응용스키마 규칙 국제표준 개정(안) 작성 2단계 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