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한양대 화학과 이진석 교수님 연구실

한양대학교 화학과

이진석 교수

Nano-Bio Interface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olecular Layer Deposition (MLD)

한양대 화학과 이진석 교수님 연구실

화학과 이진석

한양대학교 화학과 이진석 교수 연구실(기능성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연구실, FNBIL)은 무기화학, 소재화학, 나노과학을 융합한 첨단 나노구조체 및 표면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화학적 증착(CVD),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MOCVD), 원자층 증착(ALD), 분자층 증착(MLD), 액상 증착(LPD), 양극산화 등 다양한 합성 및 증착 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스케일에서의 정밀한 표면 제어와 새로운 기능성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 표면의 지형학적 인자와 화학적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세포의 부착, 이동, 분화, 노화 등 생물학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실리카 나노비드, 나노와이어, 그래핀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표면 패터닝 및 조립 기술을 개발하여, 세포와 바이오분자의 거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조직공학, 재생의학, 피부과학 등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구조 기반의 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형광 나노다이아몬드, 금 나노입자, 실리콘 나노와이어 등 첨단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세포 내 온도 측정, 바이러스 및 질병 진단, 단백질 및 DNA 검출 등 다양한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코로나19 등 감염병 진단, 암 진단 및 치료, 조직 재생 등 다양한 바이오의료 현장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구조체의 합성 및 표면 제어,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연구, 고기능성 바이오센서 개발 등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을 아우르는 융합연구를 통해, 미래 첨단소재 및 바이오융합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과제와 특허, 논문,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으며, 차세대 나노소재 및 바이오융합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신 분석장비와 실험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공의 연구원들이 협력하여, 나노과학, 무기화학, 바이오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연구를 실현하고 있으며, 학생 및 연구원들의 성장과 역량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Nano-Bio Interface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olecular Layer Deposition (MLD)
나노구조 기반 무기화학 및 소재화학
본 연구실은 무기화학과 소재화학을 기반으로 한 나노구조체의 합성과 표면 조절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화학적 증기 증착(CVD),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MOCVD), 원자층 증착(ALD), 분자층 증착(MLD), 액상 증착(LPD), 그리고 양극산화(anodization) 등 다양한 증착 및 합성 방법을 활용하여, 나노구조 표면의 정밀한 제어와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나노와이어, 그래핀, 실리카 나노구조체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고품질로 제작하고, 이들의 전기적, 광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나노구조 표면의 지형학적 인자와 화학적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표면에 흡착되는 세포나 분자의 거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초음파, Langmuir-Blodgett, 수동 조립 등 다양한 조립 및 패터닝 기법을 적용하여, 나노스케일에서의 표면 구조를 자유롭게 디자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구조 표면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은 차세대 반도체, 센서, 에너지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초과학적 이해를 넘어, 실제 산업적 응용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재의 대면적화, 균일성, 재현성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나노구조 기반 무기화학 및 소재화학 연구는 미래 첨단소재 개발과 나노기술 융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본 연구실은 이 분야의 국내외 선도 연구그룹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및 바이오센서 개발
본 연구실은 나노구조 표면과 생체분자,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탐구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의료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노구조 표면의 미세한 지형학적·화학적 특성이 세포의 부착, 이동, 분화, 노화 등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세포기능 제어 및 조직공학, 재생의학 분야로의 확장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리카 나노비드 배열, 나노와이어, 나노패턴 표면 등은 세포의 접착 및 신경세포 성장, 피부세포 노화 조절 등 다양한 생체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나노구조 기반 바이오센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형광 나노다이아몬드, 금 나노입자, 실리콘 나노와이어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세포 내 온도 측정, 바이러스 진단, 단백질 및 DNA 검출 등 고감도·고특이성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코로나19 등 감염병 진단, 암 진단 및 치료, 조직 재생 등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연구는 기초과학적 원리 탐구와 더불어,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혁신적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구조 표면의 정밀 제어와 생체적합성 향상, 고기능성 바이오센서 개발을 통해, 미래 바이오융합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Organelle-Specific Quantum Thermometry Using Fluorescent Nanodiamonds: Insights into Cellular Metabolic Thermodynamics
이유빈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25.04
2
Focal adhesion dynamics-mediated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n silica bead arrays
박이슬, 최예린
Biomaterials Science, 2025.04
3
Curvature-dependent adhesion dynamics of NIH/3T3 fibroblasts on silica bead arrays
Yerin Choi†, Ariunzaya Shijirbaatar†, Jongin Hong†, Yeonsu Ryoo, J. S. Lee*
Surfaces and Interfaces, 2025.07
1
FT-IR기반의 실시간 분자층 증착장비 개발 (Development of FT-IR based real-time analysis of molecular layer deposition)
(재)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2021년 04월 ~ 2023년 12월
2
4D 단분자 단일나노구조 제어 자기조립 리소그래피(4D 모나리자) 개발 (4D Molecular Nano Addressable Lithographic SelfAssembly(4D MONALISA))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20년 09월 ~ 2022년 02월
3
나노포어 측정을 위한 바이오인터페이싱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bio-interfacing technology for nanopore measurements)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20년 03월 ~ 2021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