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NanoBioPhotonics Lab.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최연호 교수

나노바이오포토닉스 연구실(NanoBioPhotonics Lab.)은 나노기술, 생명과학, 광학의 융합을 기반으로 차세대 바이오의공학 진단 및 치료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엑소좀, 나노플라즈모닉 센서,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SERS), 인공지능 기반 신호 분석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암, 백혈병, 우울증 등 다양한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혈액 등 체액 내에 존재하는 엑소좀을 표적화하여, 비침습적 액체생검 기반의 암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노플라즈모닉 센서와 SERS를 결합한 고감도 분자 신호 검출 기술은, 기존의 단일 바이오마커 기반 진단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중 바이오마커 분석을 통한 정밀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폐암, 백혈병, 다양한 고형암 및 정신질환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나노공정 및 생체모방 구조체를 이용한 의료용 소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혈전 방지 옴니포빅 표면, 나노입자 프린팅, 3차원 나노구조 조립 등 혁신적 나노공정 기술을 통해,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실제로, 혈액과 접촉하는 의료기기에서 혈전 형성을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소재를 개발하여,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접목한 분광 신호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복잡한 생체 신호의 해석과 질병 진단의 자동화·정밀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셋과 기계학습 기반의 분석법을 통해, 암, 우울증, 감염병 등 다양한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반응 예측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나노바이오포토닉스 연구실은 융합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바이오의공학 진단·치료 기술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밀의료, 맞춤형 치료, 동반진단 등 미래 의료의 핵심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