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드랩 raud lab – 건축공간분석연구실
건축학전공 김수영
라우드랩(raud lab) 건축공간분석연구실은 건축계획 및 설계, 도시공간 분석,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지구단위계획의 체계적 분석과 실효성 평가를 중심으로,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역 특성 보존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서울시를 비롯한 국내외 도시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현황, 주요 계획항목, 운영실태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각 도시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계획 수립과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웹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정보제공시스템 내 정보 구현수준 분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계획의 실행력과 정책 효과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연구 역시 본 연구실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도시 내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지구단위계획을 활용한 대응 방안, 지역특성 보존을 위한 정책 제안 등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미국 등 해외 사례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국내 정책의 한계와 개선점을 도출하며, 지역상생발전 특별법 등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대학 공간의 지역사회 공유, 지역거점대학의 공간 활용, 지역사회 공헌 활동 등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건축계획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확보와 지역공동체의 활성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라우드랩은 앞으로도 건축공간 분석, 도시계획, 지역사회 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도시와 건축의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Public Architecture
Urban Planning
Gentrification
지구단위계획의 분석 및 실효성 평가
지구단위계획은 도시 내 특정 지역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수립되는 중요한 도시계획 도구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서울시를 비롯한 국내외 다양한 도시를 대상으로 지구단위계획의 유형별 재정비 현황, 주요 계획항목, 운영실태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도시의 특성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계획 수립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구단위계획의 실효성 평가를 위해 웹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정보제공시스템 내 정보 구현수준 분석, 운영실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계획의 실행력과 정책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도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유사 제도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국내 지구단위계획의 한계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역 특성 보존,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과 같은 도시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지구단위계획의 실효성 제고와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및 지역사회 연계 건축계획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의 성장과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회적 현상으로, 임대료 상승과 기존 거주민의 퇴출, 지역공동체의 해체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본 연구실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더불어,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건축 및 도시계획적 해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구단위계획을 활용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 상업시설 입지 규제, 지역특성 보존을 위한 정책적 제안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연구실은 서울시의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을 위한 특화된 용도계획, 개발규모 제한, 외장재 인센티브 등 실제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 개입의 시기와 효과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FBR 제도 등 해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국내 정책의 한계와 개선점을 도출하고, 지역상생발전 특별법 등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대학 공간의 지역사회 공유, 지역거점대학의 공간 활용, 지역사회 공헌 활동 등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건축계획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확보와 지역공동체의 활성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국립대학의 지역사회 공헌 활동 연구 - 국립대학육성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24
2
Analyzing Redevelopment Trends and Key Planning Elements in Seoul’s District Unit Plans by Detailed Typ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24
3
국내 지구단위계획 정보제공시스템 내 정보 구현수준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4
3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간비용채산제 수립 방안 연구용역